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 대통령 방미 전격 연기 배경은…국민 안전ㆍ여론 의식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14∼18일로 예정됐던 미국 방문을 연기하기로 전격 결정한 것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국가적 불안감이 진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외로 나가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 따라 이뤄진 결정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메르스 사태 대응 등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판단 하에 박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연기했다고 설명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전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에게 연락을 취해 메르스 사태 등 국내 사정에 따라 방미 연기 의사를 전달했고, 이에 미국측이 동의하면서 방미 일정은 연기됐다.

이번 미국 방문이 북한의 계속된 도발 위협과 극에 달한 공포정치 등 불안한 북한 내부 상황, 미국과 일본의 ‘신밀월’ 시대 개막 및 이들 두 나라와 중국 사이의 갈등 심화까지 요동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국익 차원이나 우리 외교에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음에도 국민 안전에 직결된 문제를 방치한 채 자리를 비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10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메르스 사태 악화로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14일부터 예정됐던 미국 방문 연기를 발표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ㆍ헤럴드=박현구 기자 phko@heraldcorp.com

▶국민안전ㆍ여론 의식=김성우 홍보수석도 10일 박 대통령의 방미 연기 결정을 발표하면서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기에 방미 일정을 연기하고 국내에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이날 방미 연기 결정에는 ‘여론 악화’에 대한 부담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날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발표한 박 대통령의 방미 관련 여론조사(8∼9일, 성인 700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7%포인트) 결과 순방을 연기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53.2%, 예정대로 순방을 가야 한다는 응답자는 39.2%로 나타난 것도 박 대통령의 방미 연기 결정에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번 방미 연기로 인해 자칫 한미 관계에 악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미 양국이 수개월 전부터 준비한 미국 순방 일정을 한국이 국내 사정을 이유로 연기했다는 점에서 외교적 결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가 “한미 간에 상호 편리하고 가장 빠른 시기로 방미 일정을 재조정키로 합의했다”고 한 점은 방미 연기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여ㆍ야 모두 ‘잘한 결정’ 평가=여야는 박 대통령의 방미 일정 연기에 대해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의 방미 연기와 관련, 국민을 우선한 ‘결단’으로 평가하면서 존중한다고 밝혔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에서 “메르스 사태가 국민에게 끼친 사회ㆍ경제적 심리를 고려한 것”이라면서 “대통령이 중대한 결심을 한 만큼 메르스 사태를 극복하는 데 온 국력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또 “한ㆍ미간 어떤 외교적 손실도 발생하지 않도록 후속 조치를 면밀히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새정치민주연합도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연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의 성공회대성당에서 열린 6ㆍ10 민주항쟁 기념행사장에서 방미 연기 소식을 접한 뒤 기자들에게 “국민 안전에 대한 걱정과 메르스 상황에 비춰보면 잘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유은혜 대변인도 논평에서 “대통령의 방문 연기 결정이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대응에 신뢰를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r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