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인 삶의 질, OECD 내 최악’...현정부 들어 계속 추락 중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한국인의 ‘삶의 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으로 추락했다.

3일(현지시간) OECD는 ‘2015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 2015)를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34개 OECD 회원국과 러시아·브라질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한국은 총 11개 지표 가운데 사회적 연계(Social Connections)를 포함해 절반에 가까운 5개 지표에서OECD 하위 20%에 들었다.

사회적 연계는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친척, 친구 또는 이웃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한국인은 72%만이 이런 사람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OECD 평균 88%보다 16%포인트 낮아 조사대상 중 꼴찌에 해당된다.

삶의 질과 관련된 다른 지표에서도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일과 삶의 균형’은 36개국 중 33위, ‘건강’ 31위, ‘환경’ 30위, ‘삶의 만족도’는 29위로 나타났다.

일과 삶의 균형의 척도 가운데 하나인 주당 평균 근무시간이 50시간 이상인 노동자의 비율은 한국이 18.7%를 기록했다. 한국보다 이 비율이 더 높은 국가는 터키(40.9%), 멕시코(28.8%), 일본(22.3%)에 불과했다.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서는 한국인은 10점 만점에 5.8점을 줘 29위에 그쳤다. OECD 평균 6.6점보다 낮다.

이 부문에서는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위스, 노르웨이, 이스라엘이 1∼5위로 나타났다. 일본은 한국보다 한 단계 높은 28위였다.

반면 양적 지표에서는 선전했다. 한국인의 삶은 ‘직업’(16위)과 ‘주거’(20위), ‘소득’(24위)에서는 OECD 회원국 중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투표 참여율과 규제 도입 시 합의과정의 투명성 등을 따지는 ‘시민참여’(4위)와‘교육’(4위), ‘안전’(6위)은 상위 20% 내에 포함됐다.

OECD의 ‘더 나은 삶 지수’는 주거, 소득, 직업, 교육, 환경, 건강, 삶의 만족도, 안전 등 11개 부문을 평가해 국가별 삶의 질을 가늠하는 지표다. OECD는 2011년부터 매년 이 지수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11개 부문을 모두 합친 전체 순위에서 한국은 올해 27위로 작년보다 두 단계 떨어졌다.

올해 전체 1위는 지난해에 이어 호주가 차지했으며 스웨덴, 노르웨이, 스위스, 덴마크, 캐나다, 미국 등이 차례로 뒤를 이으며 상위권에 포진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