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때이른 불볕더위, 내차 관리 요령은?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최근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어가면서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날이 무더워지면 차량관리에도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차 안에 폭발할 만한 물건 없나?=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한낮 기온이 30도를 웃돌 때는 차량 실내온도가 50도에서 최대 90도까지 상승한다고 한다. 때문에 폭염에 방치된 차 안에 무심코 놓고 간 물건들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가스가 들어있는 라이터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물품이다. 차량 내부 과열로 폭발 위험이 있다. 실내 탈취제와 캔음료, 먹다 남은 물병도 폭발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니 차에서 벗어날 땐 반드시 치워야 한다.

폭염 대비 차량 관리 요령 3가지. <사진 제공=한국로버트보쉬(주)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사업부>

그외 휴대전화나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의 전자기기도 과열로 기기가 오작동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을 뽑아두거나 신문지로 유리를 가려 과열의 위험을 줄여야 한다고 권고한다.

차량 용품을 선택할 때도 LPG 가스가 없는 탈취제를 사용하는게 안전하다.

만일 화재가 날 경우를 대비해 차량용 소화기나 해머를 준비하는 것도 좋다. 또한 안전삼각대를 구비해두면 사고 발생시 2차사고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

▶브레이크액 관리 필수=여름철 아스팔트 도로 표면의 온도는 50~60도 이상까지 높아지며, 뜨거운 노면으로 브레이크 마찰열이 더욱 상승한다. 이때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브레이크액은 끓어오를 가능성이 높은데, 만일 브래이크액이 끓게되면 브레이크 라인 내 기포가 생겨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유압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베이퍼록(vapor loc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기 전에 브레이크액을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 브레이크액은 시간이 흐를수록 수분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행을 하지 않더라도 교환주기를 지켜야 한다. 브레이크액의 교환주기는 보통 2년 혹은 주행거리 기준 4만km이다. 또한 비등점이 높은 브레이크액을 선택해야 베이퍼록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엔진을 식혀주는 냉각수 확인=국민안전처에서 발표한 화재발생통계에 따르면 전체 화재 중 차량 화재가 차지하는 비율이 18.5%로 가장 높고, 차량 화재의 원인 중 하나로 엔진 과열이 꼽힌다.

냉각수는 엔진의 실린더 주변을 돌며 가열된 엔진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므로 제때 교환해야 한다. 특히 더운 날씨에는 냉각수를 적정량 유지하고, 운전 중에도 계기판에 표시된 냉각수의 온도를 체크하여 이상이 없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냉각수의 교환주기는 2년에 한 번 정도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