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름값 줄일 수 있는 운전법은 이것…자동차 ‘연비왕’ 비법 보니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엔진예열은 최소화’, ‘출발은 부드럽게’, ‘관성 주행 활용’, ‘정속주행 유지’, ……

운전 습관만 바꿔도 기름값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걸 증명하는 대회가 열려 눈길을 끈다. 교통안전공단이 지난달 30일 경기도 화성시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개최한 ‘제2회 국토교통부장관배 자동차 연비왕 선발대회’에서 1등과 하위권 연비차는 1ℓ당 6㎞ 정도나 됐다.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공단이 주관한 이번 대회는 승용차 부문에서 29명, 화물차 부문에서 20명이 참가해 도심 외곽도로 약 15km를 주행해 자동차의 연비를 겨루었다.

승용차 부문에서는 평균연비 19.85㎞/ℓ(공인연비 14㎞/ℓ 차량)를 기록한 차태걸씨가, 화물차 부문에서는 평균연비 16.13㎞/ℓ(공인연비 12.3㎞/ℓ 차량)를 기록한 이창선씨가 각각 연비왕(금상)으로 선정됐다.

승용차 부문의 경우 1위와 최하위(13.87㎞/ℓ)와의 연비차는 5.98㎞/ℓ나 됐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일평균 주행거리 32.6km 반영)하면 차씨는 연간 약 38만원의 유류비를 절감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일평균 주행거리가 승용차보다 4배가 더 긴 화물차 부문의 경우 1위(16.13㎞/ℓ)와 최하위(10.42㎞/ℓ)와의 연비차는 5.71㎞/ℓ로 이를 금액으로 환산(일평균 주행거리 134.8km 반영)하면 연간 약 213만원의 유류비가 줄어든다.

또 이를 온실가스(CO2) 배출량으로 환산할 경우 승용차는 연간 0.6톤CO2, 화물차는 연간 4.4톤CO2를 각각 감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비왕들은 평소 인터넷, 교통방송, 네비게이션 등을 활용한 ‘교통정보 활용을 생활화’하고, 연비를 높일 수 있도록, ‘엔진예열 최소화’(예열은 10초 적정, 최대 30초 초과 안함), ‘출발은 부드럽게’(자동차시동 5초후 시속20km-1500rpm에 맞추어 출발), ‘관성주행 활용’(내리막길 엔진브레이크 사용, 오르막길 사전 가속시켜 관성으로 주행 등), ‘정속주행 유지’, ‘경제속도 준수’(일반도로에서 60~80km/h, 고속도로 80~100km/h), 공회전 최소화 등 운전습관이 배어 있으며, 적재물을 최소화하고, 타이어 공기압을 1개월 단위로 체크하는 등 자동차 관리도 생화화돼 있었다.

오영태 공단 이사장은 “이번 대회의 주행코스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경험하는 도심 외곽지역 및 혼잡지역이 혼재돼 있어 도심지역 운전자들에게 경제운전의 효과를 알리는데 큰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며, “운전자 개개인이 간단히 운전습관만 바꿔도 연료절감 및 교통사고 예방은 물론, 교통물류 온실가스 감축 등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