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檢, 정동화·명제산업 연결고리 ‘포항상의 인맥’ 주목
하도급과정 금품수수정황 포착
검찰이 포스코건설 협력업체 명제산업을 전격 압수수색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포스코건설 정동화(64) 전 부회장과 명제산업 주모(42) 대표가 포항 지역 경제단체 활동을 통해 서로 아는 사이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검찰이 수사 과정에서 이들을 중심으로 한 포항 인맥을 들여다볼 가능성이 제기된다.

28일 지역 업계에 따르면 주 씨는 고향인 포항을 기반으로 활발한 정치ㆍ경제ㆍ사회 활동을 벌였다. 20대부터 포항청년회의소에서 임원을 도맡으며 대외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지역 사회에선 젊은 일꾼으로 통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고검에 둥지를 튼 특별수사팀의 ‘성완종 리스트’ 수사가 8인중 6인에 대한 조사를 앞두고 숨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의 자원 개발 비리와 특수2부의 포스코 경영진 비리 의혹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광물자원공사, 포스코 전직 최고경영진을 정조준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이런 주 씨와 정 전 부회장과의 접점은 포항 대표 경제단체인 포항상공회의소에서 만들어졌다.

주 씨는 지난 2006년 3월 3년 임기의 19대 상공의원으로 선출되면서 포항상의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후 21대(2012년∼2015년)를 거쳐 현재도 22대 상공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포항에서 레미콘 사업을 했던 주 씨의 부친도 과거 포항상의 회장을 역임했다가 건강 문제로 중도에 물러난 바 있다.

정 전 부회장과 정준양(67) 전 포스코 회장도 포항상의 상공의원 출신이다. 두 사람 다 20대(2009∼2012년) 상공의원을 지냈다. 정 전 회장의 경우 주 씨가 처음 상공의원으로 뽑힌 19대 때 3년 간 함께 활동했다.

본사가 포항에 위치한 포스코는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때문에 포항상의에서도 포스코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포항상의 48명 상공의원 절반이 포스코 계열사나 협력업체 임원들로 채워져있다. 포스코건설 비리 의혹에 연루된 협력업체 코스틸도 포항상의 회원사로, 일부 임원이 상공의원으로 활동했다.

때문에 주 씨가 운영하는 명제산업이 포스코건설의 하도급을 받은 데는 포항상의 인맥이 적잖게 작용했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포항상의를 통해 쌓은 친분으로 사업상 이권을 따냈을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 명제산업은 지난 2011년 청송 성덕댐 공사 때 포스코건설이 맡은 댐 주변 도로공사를 일부 시공했다.

포스코 비리를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조상준)는 이 과정에서 하도급 대가로 금품이 오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6일 포항 소재 명제산업 본사 사무실 등 2∼3곳에 수사관 10여명을 보내 재무 자료와 거래내역, 컴퓨터 관련자료 등을 확보했으며, 주 씨를 한 차례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조만간 주 씨를 다시 소환해 정 전 부회장과 뒷거래가 있었는 지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또 정 전 부회장의 추가 비리 혐의가 확인되는 대로 구속영장을 재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강승연 기자/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