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 부실채권, 기업 늘고 가계 줄고
1분기 총 24조7000억…5000억 늘어
기업여신 22조·가계여신은 2조 차지
“저금리·부실채권 정리효과 증가세 둔화”



올해 1분기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지난해 말보다 5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6일 올해 1분기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이 24조700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말보다 5000억원 늘었다고 밝혔다. 1분기 전체 부실채권 비율은 1.56%로 전년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증가세는 지난해 1분기(0.02%포인트)보다 0.25%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채권 비율은 총 여신에서 고정이하 여신(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부문별 부실채권 규모를 보면 기업여신이 22조원으로 전체 부실의 대부분(89.1%)을 차지했고, 가계여신(2조5000억원), 신용카드채권(1000억원) 순으로 많았다.

기업여신 부실채권은 지난해 말보다 5000억원 늘어난 반면 가계여신 부실채권은 1000억원 줄었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 은행이 적극적으로 가계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작년 말보다 부실채권 비율이 조금 높아진 것은 신규로 생긴 부실 채권이 정리된 부실채권 규모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올 1분기 중 부실 채권 발생액은 4조4000억원으로 작년 4분기보다는 2조3000억원 줄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신규 부실이 2조2000억원 감소한 3조5000억원으로 전체의 79.5%를 차지했다. 올 1분기 가계여신 신규 부실은 8000억원으로 전분기 발생액보다 1000억원 감소했다. 올 1분기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전분기보다 4조6000억원 줄어든 4조원으로 집계됐다.

부문별 부실채권 비율은 기업여신이 2.11%로 작년 말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조선업(5.45%), 건설업(5.28%), 부동산ㆍ임대업(2.23%)이 높았다.

그러나 가계여신은 0.48%로 0.01%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은 0.38%로 0.04%포인트 떨어졌지만 신용대출 등에서는 0.72%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 비율은 0.19%포인트 오른 1.30%를 나타냈다.

류찬우 금감원 은행감독국장은 “1분기말 부실채권비율은 작년 말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저금리 지속과 부실채권 정리효과로 작년 1분기말보다 떨어지는 등 증가세가 둔화하는 모습”이라며 “주요국과 비교해서도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그러나 기업여신의 24.2%를 차지하는 조선업, 건설업, 부동산 등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은행의 자산건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적정 대손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희라 기자/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