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1~2014년 成 수상한 자금, ‘리스트 총액’보다 훨씬 크다…野, 나머지 6인 수사촉구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성완종 리스트’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은 당초 ‘비자금 저수지’로 지목됐던 경남기업의 전도금(본사에서 건설현장에 보내는 지원금) 32억원 외에 뭉칫돈이 추가로 세탁된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내용 규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6일 사정당국 등에 따르면 수사팀은 지난 15일 서산장학재단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장학금 지급 내역과 재단 운영비 집행 내역 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재단의 본래 목적과 무관한 자금이 외부로 흘러간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산장학재단은 지난 1991년 고 성완종 경남기업 전 회장의 주도로 설립됐다. 금전적으로 어려운 지역 학생을 지원하겠다는 기존 취지 외에도 성 전 회장의 주요 선거나 의정활동 때 실질적인 사조직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수사팀은 2011년부터 2014년 사이 재단에서 빠져나간 자금 가운데 최소 수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에 달하는 금액의 용처가 불분명한 점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11년 18억3000여만원에 달했던 재단의 장학금 지급액이 2012년에는 266만원으로 99% 넘게 급감하는 등 18대 대선을 전후로 재단이 보유했던 자금의 이동 경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또한 경남기업 3차 워크아웃이 한창 진행 중이던 2013년 당시 재단이 기부받은 20억원 가운데 사업비 명목 지출이 2억3000만원에 불과하고 나머지 17억원가량의 용처가 불분명한 점도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수사팀은 이들 금액 중 일부는 사용하지 않던 계좌로 들어가고 나머지 일부는 현금화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수사팀은 경남기업의 ‘금고지기’로 통하는 한 모 전 재무ㆍ회계담당 부사장과 김 모 서산장학재단 이사 등 관련자들 조사를 병행하면서 수상한 자금 흐름의 실체를 본격적으로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수사팀이 한 전 부사장으로부터 자금 의혹과 관련 유의미한 진술과 얻을 경우 홍준표 지사와 이완구 전 총리에 이은 다음 수사 타깃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헤럴드경제DB

현재 ‘성완종 리스트’의 남은 6인방 중 2012년 대선과 관련된 인물로는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과 같은 당 유정복 인천시장, 서병수 부산시장이 꼽힌다. 이들 세 사람은 대선 경선 당시 모두 요직을 맡았다.

하지만 의미 있는 자금 흐름이 발견되더라도 홍 지사와 이 전 총리와 달리 증거와 진술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의미있는 수사 진전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

야당 등 정치권의 압박 수위가 높아지는 점도 수사팀에겐 부담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병헌 최고위원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 등 의원단 10여명은 이날 오전 대검찰청을 항의 방문하고 나머지 6인에 대한 철저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