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들은 어떻게 빈 땅콩을 골라낼까
[HOOC=이정아 기자] 새들은 쭉정이가 섞여 있는 땅콩 더미에서 어떻게 속이 꽉 찬 땅콩을 손쉽게 골라낼 수 있을까?

국내 연구진이 새들도 껍질을 까보지 않고도 땅콩의 무게와 소리를 가늠해 속이 차 있는지 비어 있는지 알아낸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습니다. 새들도 사람과 비슷한 행동 양식으로 가려낸다는 것이죠.


서울대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이상임 교수팀과 생명과학부 행동생태 및 진화연구실 표트르 야브원스키 교수는 까마귓과 새인 ‘멕시코 어치’를 이용한 실험에서 새들이 무게와 소리로 속이 꽉 찬 땅콩과 빈 땅콩을 가려냈다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연구진은 땅콩의 내용물을 조작해 멕시코 어치에게 주고 그 행동을 분석했습니다.

첫 번째 실험. 연구진은 땅콩 3개가 온전히 들어 있는 것과 속이 빈 땅콩을 뒤섞어 놓았습니다. 그러자 멕시코 어치들이 부리로 땅콩을 물고 흔들어 무게를 가늠하거나 부리를 부딪쳐 소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속이 찬 땅콩을 골라냈습니다.

두 번째 실험. 연구진은 땅콩 3개가 들어있는 것과 진흙을 넣어 무게를 1g 늘린 땅콩 껍질 놓았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도 멕시코 어치들은 위와 같은 행동을 하다가 더 무거운 땅콩을 선택했습니다.

이어진 실험에서 연구진은 땅콩 3개가 들어있는 껍질에서 2개를 뺐습니다. 이후 땅콩 1개가 들어있는 것과 애초 땅콩 1개가 들어있는 걸 섞었죠. 그 결과 어치들은 처음에는 3개짜리 땅콩 껍질을 집어 들었다 소리를 확인한 뒤, 1개짜리 땅콩으로 바꿔들었습니다. 단순히 무게로만 내용물을 판단하지 않고 껍질 크기에 맞는 적절한 무게를 가늠해 속이 꽉 찬 땅콩을 골라 낸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추후 연구팀은 소리가 내용물 파악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도토리를 고를 때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지 등을 실험할 계획입니다. 연구 결과는 최근 ‘조류학 저널’(Journal of Ornithology)에 실렸습니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