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허창수 “모바일혁명은 위기이자 기회”
‘GS 밸류 크리에이션 포럼’서 성장 패러다임 제시
변화와 혁신에 전직원 동참 당부



“사물인터넷과 모바일혁명 등 기술 발전과 신기술 출현이 미래의 경영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킬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기회이기도 하다.”

GS그룹의 허창수 회장<사진>이 20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열린 ‘GS 밸류 크리에이션 포럼’에서 미래를 위한 새로운 성장을 다짐했다. 


지난 10년간 정유ㆍ화학 등 기간산업으로 몸집을 불려온 GS에 새로운 미래 기술을 접목, 변화와 혁신을 이뤄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허 회장은 “기술 혁신이 가져올 미래의 모습과 고객 수요 변화를 예측해 발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면서 “다가오는 미래에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먼저 준비하는 것이 변화와 혁신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변화와 혁신은 우리의 생존과 미래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아니라 필수”라며 “현장에서부터 최고경영자까지 절박함을 갖고 지속적인 혁신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허 회장은 “변화와 혁신이 소수 참여자나 일부 조직에서만 실행되어서는 안된다. 여러분이 가진 경험과 지식은 우리 GS 경쟁력의 원천인만큼 이런 역량이 개개인이나 소수에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변화와 혁신이 조직 전체로 확산되고 개개인의 역량이 하나로 뭉쳐질 때 진정한 의미의 시너지가 발현된다. 이러한 시너지야 말로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사업을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는 허 회장을 비롯해 주요 계열사 CEO 및 임원과 전략·기획·혁신·기술담당 팀장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2010년부터 매년 열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GS 밸류 크리에이션 포럼’은 계열사들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및 성과공유를 통해 그룹 내 혁신과 변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GS에너지는 이 자리에서 신소재 개발을 통한 양극재 사업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이 회사는 리튬이온전지의 차세대 양극재에 필요한 고용량 니켈계 신소재를 개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대량 공급계약을 맺고 보조배터리를 만드는 중국의 IT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GS칼텍스도 ‘파노라마 선루프 프레임용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혁신사례로 공유했다. 자동차 연비향상을 위한 부품 경량화 추세에 따라 강철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무게가 절반에 불과한 자동차용 탄소섬유 복합소재 개발에 성공한 것.

GS칼텍스는 “이 소재를 10만대 이상 양산차량의 파노라마 선루프 프레임에 단독 공급하고 있다. 미국 학회인 SPE로부터 자동차 혁신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소개했다.

GS리테일은 ‘물류혁신을 통한 운영 최적화’ 발표에서 ”전국 16개인 물류센터를 11개로 통폐합하고, 물류센터 24시간 운영 및 공동배송 확대 등을 통한 물류배송체계 혁신으로 물류 서비스 개선 및 배송비용 절감을 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이 회사는 지난해에만 물류비용 150억원을 감축했다.

이에 허 회장은 “신기술을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개선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 수익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려는 진지한 고민의 흔적들도 엿보인다”며 “이번 포럼을 변화와 혁신을 다짐하는 계기로 삼아 우리 GS가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미래를 위해 지속성장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윤희 기자/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