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통시장에 참신한 아이디어와 끼를 접목한다···중기청, 대학과 연계한‘개성과 특색있는 전통시장 육성방안’마련
[헤럴드 경제(대전)=이권형 기자] 전통시장과 대학이 손잡고 ‘창조적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운영을 통한 젊은층의 시각에서 활력이 넘치는 전통시장 만들기 사업을 추진한다.

중기청(청장 한정화)은 지난해 마련된 ‘개성과 특색있는 전통시장 육성방안’의 일환으로, 전통시장과 대학이 손잡고, 전통시장의 변화를 주도할 창의적 아이디어를 갖춘 문화ㆍ기술ㆍ디자인 등의 학과 학생이 참여하는 ‘창조적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최근 전통시장의 상인 고령화(평균 56세)와 소비계층의 편중화(40∼60대)가 심화됨에 따라 대학생의 눈높이에서 참신한 ‘아이디어와 끼’를 접목해 전통시장의 변화와 혁신을 유도키 위함이다.

전통시장과 지역 대학의 연계를 통해 전공지식을 토대로 전통상권의 문제점을 소상인들과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으로, 대학의 사회적 책임 실천과 창조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융합형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사업이다.

전통시장과 대학은 젊은층의 전통시장 유입 촉진을 위해 현장실습, 상인과의 소통, 점포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시각 및 고객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공감과 소통을 위한 문화공간과 상품으로 전통문화 체험, 휴식, 관광공간 등 소비 및 놀이,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며 시장 특성과 장점을 스마트·온라인화된 소비패턴에 맞춰 소비자가 쉽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한다.

또한, 전통시장의 인기상품과 대표상품 개발, 시장 고유 브랜드로 특성화해 소비자 인지도 제고 및 타 업종으로 파급해 나가며 고객 쇼핑환경과 영업 공간 환경정비를 통한 테마 이미지 연출로 시장에 대한 호기심과 신비감 연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중기청 조재연과장(시장상권과)은 “이번 사업은 전통시장에 대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끼를 접목시켜 개성과 특색있는 전통시장을 만들기 위함”이라며 “전통시장의 젊은층의 유입촉진과 함께 청년상인 육성과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