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실낱 단서 라도…檢 ‘워크아웃 특혜’에서 成리스트 ‘귀인’ 기대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일체 좌고우면하지 않고 수사 진행에 따라 막힘 없이 진행하겠다.”

지난달 13일 검찰 특별수사팀 팀장으로 선임된 문무일 대전지검장이 첫날 기자들에게 밝힌 말이다. ‘성완종 리스트’ 의혹에서 출발한 검찰 수사가 오는 22일로 수사 40일째로 접어들게 된다.

문 팀장의 공언대로 수사팀은 올해 4~5월 동안 휴일도 반납한 채 쉼없이 달려왔다. 착수 한 달 만에 거물 정치인인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 관련 소환 조사를 모두 마칠 수 있었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공여자 사망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검찰이 비교적 단시일 안에 기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두 정치인의 소환 조사 이후 검찰 내부의 고민도 깊어지는 모습이다. 홍 지사나 이 전 총리와 달리 나머지 리스트 6인방은 금품 수수 의혹과 관련된 정황이 메모와 녹취록 외에 거의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의 경우 ‘2012년 대선 전’과 ‘2억원’만 리스트에 있었고 유정복 인천시장과 서병수 부산시장은 시기ㆍ장소가 전혀 특정되지 않았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은 공소시효가 이미 지난 상황이다.

또한 수사팀 안팎에서 핵심 증거가 될 것으로 기대했던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비밀장부’는 존재 여부조차 불투명하다. 때문에 지난 15일 전격 실시된 서산장학재단 압수수색에 확보한 자료와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2007년 특별사면 관련 자료에서 새로운 내용이 나온다면 수사 진전의 단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단서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당시 정황 증거를 수집하기 쉽지 않고 관련자 진술에 의존해야 하는 등 지난한 작업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계속되는 강행군에 수사팀 피로가 누적된 점도 고민이다. 검찰 수뇌부가 나서서 직접 수사를 독려하고 있지만 검찰 내부에서도 “이 전 총리나 홍 지사 정도를 기소하고 나머지 의혹에 대해서는 국민들에게 소상히 설명하는 수준에서 마무리되지 않겠느냐”는 회의적인 관측이 일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 여론 역시 홍 지사와 이 전 총리에 대한 소환 조사 이후 현저히 주목도가 떨어지는 모습이다.

정치권의 압박 수위가 점차 높아지는 부분도 검찰의 어깨를 무겁게 하고 있다. 홍 지사와 이 전 총리의 소환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권의 파상공세가 거세지는 모습이다. 유은혜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지난 17일 “검찰이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불구속 기소 방안은 사실상 증거 인멸을 도와주겠다는 것”이라며 “(홍 지사와 이 전 총리가) 이처럼 사법질서를 농락하는 데도 불구속이라니 검찰이 정상적 판단을 한다고 국민이 어떻게 신뢰할까”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일단 수사팀은 이 전 총리와 홍 지사의 기소에 주력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두 인사의 기소 이후 첫 검찰의 행보가 수사 확대가 이뤄질 지 아니면 마무리 수순에 돌입할 지 여부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은 이와함께 경남기업 워크아웃 과정의 특혜 의혹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성완종 리스트’에 부합하는 단서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는 상황이다. 실낱같은 단서라도 찾으려는 검찰의 몸부림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된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