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코 포항2고로 최신설비로 재탄생, 첫 불 당겨
12일, 권오준 포스코회장이 3차 개수를 마친 포항 2고로에 화입하는 모습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포스코의 포항 2고로가 3차 수리 작업을 마무리하고, 최신설비로 재탄생했다.

1976년 첫 가동 이후 38년간 6900만톤의 쇳물을 생산해온 포항 2고로는 95일간의 수리 작업을 마치고, 12일 첫 불을 당겼다.

고로에 첫 불씨를 넣고 작업을 개시하는 화입식에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을 비롯해 김해봉 조선내화 사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권 회장은 이날 “강건한 설비 경쟁력을 바탕으로 연간 210만톤의 쇳물을 향후 15년간 꾸준히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최근 어려운 대내외 경영여건속에서 2고로가 ‘포스코 더 그레이트(POSCO the Great)’달성의 주춧돌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포항2고로는 ‘사이클론 가스(Cyclone Gas)’ 청정시스템을 적용해 기존 집진(集塵ㆍ먼지를 모으는 작업)설비 대비 50% 이상 효율을 높였다. 쿨러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고 대기 중으로 흩어지는 비산 먼지 포집 장치인 쿨러 전용 집진기를 도입했다.

배출수증기를 제로화하기 위해 ‘무증기수재설비’도 도입하였다. 또 정밀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냉각방식을 개선해, 고로 본체의 수명을 더욱 늘리고 경쟁력도 향상시켰다.

특히 3000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이번 사업에는 포스코건설 등 계열사에 발주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24개 중소 공급사에 분할 발주함으로써 중소기업 상생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1976년 5월 첫 가동한 포항2고로는 83년 1차 수리, 97년 2차 수리에 이어 올해 2월6일부터 95일간의 수리작업을 마치고 최신설비로 재탄생했다. 포항2고로가 첫 가동되면서 국내조강생산 능력은 400만톤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후 조선, 가전, 자동차 등 국가산업발전의 근간이 되는 주요 관련 산업이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됐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