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자재 투자왕 짐 로저스 “北에 전재산 투자하고파”
[헤럴드경제=이수민 기자] 미국 ‘원자재 투자 귀재’ 짐 로저스가 북한에 전 재산을 투자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로저스는 지난 4일 홍콩에서 가진 CNN 머니 회견에서 “김정은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때 같다면 투자하지 않을 것이다. 마오쩌둥 시대이던 1980년 중국에 투자하지 않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중국도 덩샤오핑이 집권해 엄청나게 변했다. 북한도 그렇다. 그 아이(김정은)가 놀랄만한 변화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현대 그 곳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내 돈을 모두 투자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도 했다.

중국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그는 “중국 주식도 계속 더 살 것이다. 위기가 기회다. 중국은 현재 여러 가지 이유로 자본시장을 부추기고 있다. 투자 인원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 때문에 나를 포함한 외국 투자자도 계속 관심을 두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러시아에 대해서도 밝게 전망했다.

로저스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위축된 주식시장이지만, 난 최근 러시아 농업주를 샀다. 비료 회사다. 루블화 러시아 국채도 일부 사들였다. 루블화 폭락으로 러시아 금리가 매우 높다”고 소개했다.

반면 달러자산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로저스는 “내가 현재 가장 많이 투자한 통화지만 문제는 가치가 계속 뛰었다는 데 있다. 뭐든 가치가 계속 오르면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달러가 ‘안전 투자처’로 인식됐지만, 미국이 최대 채무국이며 이 때문에 통화에 거품이 끼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원유과 금과 은 등 전통적인 원자재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

로저스 회장은 “유가가 여전히 낮지만, 이쪽에 투자하지 않고 있다. 금과 은에도 투자하지 않는다. 물론 나중에는 투자해야 할 것으로 생각은 한다. 나는 가치가 떨어진 자산에 투자한다. 중국은 절정과 비교하면 40% 떨어졌고, 일본은 하락 폭이 50%에 달한다. 이밖에 이란, 일부 아프리카 국가, 그리고 카자흐스탄에도 관심이 있다. 이들이 큰 시장은 아니지만, 이제 갓 개방하면서 변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라고 조언했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