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차규 공군참모총장 잇단 구설수...공군 “사실무근”


최차규 공군참모총장을 둘러싼 구설수가 잇따르고 있다. 군인권센터는 30일 복수의 제보에 따른 것이라며 부대운영비 300만원 착복 등의 의혹을 제기했다. 사진은 KF-16 전투기에 탑승한 최 총장의 모습.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최차규 공군참모총장이 잇단 구설수에 오르내리고 있다.

군인권센터는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복수의 익명 제보에 따른 것이라며 최 총장과 관련된 갖가지 의혹을 제기했다.

군인권센터는 먼저 최 총장이 2008~2009년 제10전투비행단장으로 재임할 당시 부대 운영비 300만원을 개인적으로 착복해 업무상 횡령죄가 의심된다고 밝혔다.

센터측은 이와 관련, “300만원을 사적으로 착복해 사용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로서 이에 대한 엄정한 수사가 선행돼야한다”며 “엄정한 수사결과에 따라 그에 걸맞는 법적 처벌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인권센터는 또 최 총장이 부대비용으로 1300여만원 상당의 외국산 옥침대를 구입했으며 참모총장 재량권에 속하는 2억원 이하의 금액이긴 하지만 집무실 천장과 바닥공사 등에 1억8000만원을 지출했다고 밝혔다.

특히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당시 군 수사라인은 착복한 돈의 용처가 꽤 명확하고 추가 횡령이 있으리라 판단해 수사를 개시하려 했으나 최 총장 윗선의 외압으로 하지 못했다고 들었다”며 수사 은폐의혹까지 제기했다.

센터측은 이와 함께 최 총장의 공군작전사령관 시절 공관병이었던 A씨가 전역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 총장의 부인이 관용차를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고 작전사령관 공관 가구 일부를 빼갔다는 글을 올린 것과 관련해서도 “모두 사실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또 ‘추가적으로 확인된 사실’이라며 최 총장이 아들을 서울 홍대 클럽에 관용차로 태워주라고 명령했으며, 아들은 공관 문을 늦게 열었다는 이유로 헌병에게 욕설을 퍼붓는 등 모욕을 줬다고 덧붙였다.

공군이 부부동반 행사 참석 등을 위해 3~4차례 활용한 적이 있다고 해명한 최 총장 부인의 관용차 이용과 관련해서도 부인이 생수를 미리 준비하도록 하고 특정 라디오방송 채널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등 까다로운 요구 때문에 모든 운전병이 꺼려했다고 주장했다.

공군은 이에 대해 최 총장이 제10전투비행단장으로 재임할 당시의 재정처장과 인사처장을 통해 확인한 결과, 지휘부운영비와 복지기금의 격려금 및 위문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사실이 없다며 “최 총장은 단장 재임 시기를 포함해 현재까지 전 복무기간 단 한푼의 부정한 돈도 받거나 유용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또 공관병 A씨의 글에 대해서는 “약 일주일이라는 단기간 동안 공관병으로 근무했을 뿐인 예비역 병사의 근거 없는 언급 내용만을 바탕으로 공군참모총장의 가족과 관련된 의혹을 재주장했다”며 “해당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공군은 또 1300만원 상당의 외국산 옥침대를 구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375만원 상당의 국산 침대를 구입한 바 있다”며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공군은 사건 수사 은폐 의혹에 대해서는 “공군 헌병단은 각급 비행단내 수사실에 대한 수사 관련 제반업무를 조정·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며 “최 총장이 헌병 내사와 관련해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최 총장은 A씨가 SNS 상에 비판의 글을 올리기 전에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 직후 억대의 돈을 들여 집무실을 리모델링했다는 내용이 공개돼 논란이 되는 등 잇단 구설수에 오르내리고 있다.

한편 최 총장은 한민구 국방장관에게 A씨가 SNS상에 올린 글과 관련한 소명자료를 제출한 상태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장관의 지시로 국방부 감사관실은 공군본부에 소명자료를 제출하도록 했다”며 “현재 소명자료를 제출받아 사실관계를 확인중에 있다”고 말했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