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클러스터사업이 中企 경쟁력의 원천”
기획·개발·생산·마케팅 등 분담…산단공 산·학·연 연계 사업 성과


최근 KBS 1TV에서 어린이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애니메이션이 있다. 다름 아닌 귀여운 동물모자를 쓰고 모험을 펼치는 ‘어리이야기 시즌2’가 바로 주인공이다.

어리이야기는 2011년 말레이시아와 공동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연작이다. 제작사 NHC미디어는 어리이야기로 2013년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캐릭터부분에서 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을 수상했다. 현재 KBS 시청률 1위를 달성할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NHC미디어가 처음부터 성공을 거듭한 것은 아니다. 콘텐츠 상품화를 위한 개발 및 제조에 있어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해법은 아주 우연한 기회에 찾아 왔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의 ‘클러스터’ 사업에 참여하면서부터다.

서울디지털단지(G밸리) 클러스터에는 총 552개 회원사와 24개 대학과 35개의 지원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클러스터(Cluster)란 ‘모여 있는 무리’란 뜻으로 산업에 있어서는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간 긴밀한 협력을 뜻한다. 이런 협력은 혁신을 낳고 혁신은 새로운 경쟁력으로 발전한다.

정부의 기업지원사업도 진화하고 있다. 과거 과제를 공모하는 톱다운 방식에서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애로를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하는 클러스터 방식의 협력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이한 클러스터는 이제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필수코스’로 자리잡았다. 현재 전국적으로 71개의 미니클러스터가 구축돼 운영 중이다. 회원사 기업들은 R&D, 시제품 개발, 특허출원, 해외시장 진출 등 성장 주기별로 맞춤형 지원을 받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클러스터를 통해 R&D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10%다. 일반 중소기업 성장률의 5%보다 2배나 높다. 같은 기간 클러스터 참여기업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6.7%로, 이 역시 일반 중소기업(4.6%)보다 높았다.

클러스터사업의 특징은 회원사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주축이라는 점. 중소기업간 네트워크형 협력을 통해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줌으로써 기술개발, 신제품개발과 같은 소망했던 일을 이룬다. 같은 원자재를 쓰는 중소기업은 공동구매를 통해 원가를 줄이고 가격인하를 꾀할 수도 있다. 기업간 기술, 인력 및 자원을 공유해 리스크를 분산하는 효과도 있다.

함께 참여한 회사가 기획에서부터 개발, 생산, 마케팅 등 역할을 나눠 맡을 수 있어 가치사슬을 갖추지 못한 소기업에 특히 유리하다. 클러스터 참여는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으로 클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인 셈이다.

산업단지공단 강남훈 이사장은 “산업단지는 과거 제조업의 단순 집적지 개념에서 벗어나 클러스터사업을 통해 기업과 대학, 연구소와 기업들이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문술 기자/freiheit@hre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