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成, 국회 입성 후 경남기업부터 챙겼다
워크아웃제 보완 등 금융수장들에 압력…우월적 지위 이용 자금경색 완화 노린듯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3년 전 국회에 입성하자마자 ‘경남기업 살리기’ 작업에 착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에 배치된 직후 금융당국을 대상으로 건설사 지원책 마련을 공개 요구한 것인데, 이후에도 정무위원이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당국·금융기관과 광범위 접촉을 벌이며 경남기업의 자금경색 완화에 나섰을 것이란 관측이다.

28일 국회 회의록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이 처음으로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업무보고를 받았던 지난 2012년 7월 26일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당시 김석동 금융위원장에게 “구조조정이란 좋은 소재를 갖고 있는 기업의 유동성을 보충해서 살라자는 데 목적이 있는데 10%도 안되는 기업만 정상화되고 있는 건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구조조정 과정에서 워크아웃 돼 은행간에 충돌, 괴리감 부분 때문에 좋은 기업들이 법정관리로 가는 사례가 왕왕 있다”며 “금감원장님이 이 부분에 대해 정리를 하겠다고 하셨는데 아직도 진행이 안되고 있다”고 압박했다.

이어 “금융이란 좋은 기업들이 잘 돌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유도하는 것이 근원인데, 이 부분이 반대로 가고 있다”며 “빨리 좀 대책을 세워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당시 경남기업은 2차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졸업한 지 1년2개월 정도 지난 시점으로 여전히 자금 사정이 신통치 않은 상태였다.

이에 김 위원장은 “지적에 대해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워크아웃제도를 보완하고 금융기관들 사이에서도 서로 간의 이해 마찰로 기업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적극 제도를 보완하겠다”고 답했다.

나흘 뒤 열린 정무위 회의에서도 당시 진영욱 정책금융공사 사장에게 중소ㆍ중견기업 지원이 11%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 다음달 23일 열린 정무위 회의에선 보다 범위를 좁혀 건설사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석동 위원장에게 “건설업계 100대 기업 중 워크아웃 건설사가 26개로 종업원 수가 50%나 감소했다”며 “건설시장 상황이 안 좋으니 은행에서 등을 다 돌려버린 상태”라고 말했다. 또 “담보가 있어도 리볼빙(만기연장)을 안 해주고 무조건 (자금을) 회수하고, 이런 강압적 수단에 의해서 아주 유동성에 엄청난 애로를 많이 겪고 있다”며 “국가로선 건설사가 장단점도 있고 말썽도 많이 일으키지만 버릴 수 없는 소재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유동성을 좀 보완해 주는 정책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건설업이 국민경제 전체에 상당히 중요한 위치에 있고 서민 생활하고도 관련이 많다”며 “여러 기업이 골고루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보완책을 찾겠다”고 답했다.

한편 성 전 회장은 의원 초기부터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방해하는 기업 행태도 강하게 비판했다.

현재 성 전 회장의 최측근 2명이 검찰이 경남기업 비리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증거 인멸 혐의를 받고 있는 것과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이다.

그는 2012년 7월 25일 공정위 업무보고 자리에서 기업의 공정위 조사 방해 행위에 대해 “법을 개정해서라도 원천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공정위가 조사를 나가면 방해를 많이 하는 것 같다”며 “처벌 규정이 취약해서 그런지 몰라도 이게 과연 법질서 확립이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조사 방해 행위를 제일 나쁜 행위로 판단해 공정거래법상 처벌 규정을 강화했다”며 “이래도 안 되겠다 싶으면 우리 성 위원님께도 상의를 드리겠다”고 답변했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