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유가+부산 신항만’ 효과 톡톡…한진해운 1분기 영업익 흑자 기대
장기 불황의 늪에 빠졌던 해운업계가 장밋빛 회생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업계 1위인 한진해운은 올 1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2010년부터 5년간 지속된 긴 적자의 늪에서 탈출하는 셈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한진해운의 1분기 영업이익을 887억원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1분기에는 622억원의 손실을 냈다. 

실적 호조의 가장 큰 요인은 유가 하락이지만, 컨테이너 사업 수익성 개선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진해운이 물량을 실어나르는 가장 큰 항만인 부산 한진해운신항만의 컨테이너 물량이 늘어났다.

지난해 한진해운의 신항만 처리 물량은 25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였다. 이는 부산항 전체 컨테이너 처리 물량의 13%에 해당된다.

22일 한진해운 실적 견인의 효자노릇을 한 부산의 한진해운신항만 컨테이너 하역 현장을 찾았다. 여의도 4분의 1 규모(69만4000㎡) 부지에 자리잡은 초대형 터미널로, 1만8000TEU급 초대형 선박의 물량 처리가 가능하다.

갠트리 크레인이 쉴새없이 선박과 부두를 오갔고, 크레인이 오갈 때마다 컨테이너들이 하나 둘 배로 옮겨졌다. 크레인 기사가 마치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듯 크레인의 장비를 활용해 컨테이너를 정교하게 움직였다. 한치의 빈틈없이 컨테이너 박스들이 선박 위에 촘촘하게 쌓였다.

하역장 바로 옆에 있는 컨테이너 야드(작업장)에는 컨테이너들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야드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크레인도 쉴틈없이 움직였다. 크레인의 자동화시스템으로 사람없이 자동으로 척척 움직이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현장 관계자는 “현장분위기만 봐도 몇년전 침체기와 달리 생동감이 돈다. 야드에 빽빽하게 쌓여있는 컨테이너의 양이나 현장에서 하역 속도를 보면 실적을 가늠할 수 있다”고 전했다.

부산=조민선 기자/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