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연구진, 배아줄기세포 분화 조절하는 단백질 발견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배아줄기세포를 자극에 따라 어떤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새로운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했다. 당뇨병, 척수손상이나 치매 등의 줄기세포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학교 백성희 교수와 부경진 박사(제1저자), 국립암센터 대학원의 이호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황대희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빈진혁 박사과정(제1저자)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전문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이달 10일 자로 게재됐다.

인간 등 모든 포유류 동물은 하나의 수정란이 분열해 여러 가지 조직과 세포를 갖는 개체로 성장한다. 수정란 내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에 기인하기 때문. 따라서 해당 세포의 전분화능을 조절할 수 있다면 신경 세포, 피부 세포 등 다양한 세포조직을 만들고 변화시킬 수 있어 생명공학의 새로운 흐름을 가져올 수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원리를 명확히 규명하지 못했다.


이에 연구팀은 배아줄기세포에서 폰틴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해당 폰틴 유전자를 조건부로 없앨 수 있는 이른바 ‘폰틴 조건부 결핍 배아줄기세포’를 제작했다.

그 결과 폰틴이 발현되지 않는 배아줄기세포에서는 전분화적 특성이 사라진 채 분화가 진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유전자 조절인자로만 알려져 있던 폰틴이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고 있던 것이다.

또 연구팀은 폰틴이 분화된 세포를 다시 역분화시켜 전분화능을 갖는 유도만능 줄기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백성희 서울대 교수는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해능을 조절할 수 있는 폰틴 단백질을 새롭게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학 연구의 새로운 단초를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