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팝콘정치] “어떻게 된 총리인데…” 고심하는 親朴
[헤럴드경제=김기훈 기자] “얼마나 우여곡절 끝에 총리직에 올랐는데 사퇴라니….”

15일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새누리당 내에서도 이완구<사진> 국무총리에 대한 사퇴 요구가 터져나오자 한 친박계 중진의원은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총리가 우여곡절 끝에 총리가 된 지 두 달여만에 사퇴 요구가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인터뷰 내용이 공개되면서, 이 총리의 금품수수 의혹은 뼈대에 살이 붙듯 구체성을 얻어가고 있다.

이에 친이계 좌장 이재오 의원은 15일 최고위원ㆍ중진연석회의에서 포문을 열었다. 


이 의원은 “내일 대통령이 외국으로 출국하는데 직무를 대행할 사람이 총리”라며 “그런데 총리가 부패로 수사를 받느냐 마느냐 하는데 그 총리가 대통령 직무대행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사실 여부는 검찰에서 밝히면 되는 것이고 정치적으로 국정에 막중한 책임이 있다고 한다면 총리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사퇴를 촉구했다.

친이계로 분류되는 김용태 의원 역시 국회 기자회견에서 “이완구 총리는 명백한 진실규명을 위해 국무총리직을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친박계의 경우 이 총리에 대한 사퇴 요구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의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친박계 의원들이 따로 모여서 사퇴를 요구할 것인지 논의한 바는 없다”면서도 “아직 실체적 진실이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 총리에 대해 사퇴를 요구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이 총리마저 불명예스럽게 사퇴한다면 국정운영 동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박근혜 정부 들어 총리 임명 과정은 총체적 난국을 보여왔다.

현 정부 초대 총리로 지명된 김용준 전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은 아들의 병역문제와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지며 인사청문회도 치르지 못한 채 사퇴했다. 김용준 후보자의 낙마로 발탁된 정홍원 총리는 세월호 참사를 겪으며 사의를 표명했다. 후임 총리로 안대희 전 대법관과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지명됐지만, 전관예우와 역사인식 문제로 낙마하고 말았다.

이 총리는 언론 외압 논란등을 거치며 어렵사리 인사청문회를 통과했지만 취임 두 달만에 검찰 수사대상에 오르게 됐다. 이 총리가 이 상태로 물러난다면 국정 운영은 꼬일 수밖에 없다.

이미 이 총리가 검찰 수사 대상이 되면서 국정운영에 부담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 친박계 의원은 “도무지 돌파구가 없다”며 진퇴양난에 처한 상황을 전했다.

만약 검찰 수사가 본격화된다면 사퇴 압박이 보다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비박계 초선 의원은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당이 이 총리의 거취에 대해 입장정리를 못하고 있지만 어떤 식으로든 사퇴 절차를 밟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전했다.

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