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日 화해하라’고 美가 만든 자리지만…
16일 3개국 외교차관 첫 회의
한미일 3개국 차관이 한자리에 모인다. 일본 독도 도발에 이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 의회 연설을 앞두고 있는 등 민감한 시기다. 미국의 적극적인 중재에 따른 회동이다. 한일 관계 회복을 원하는 미국의 의중과 달리 한일 간 관계 회복은 간단치 않다. 3개국 회동에 과거사나 독도 문제에 얼마나 이견이 좁혀질 주목된다.

한미일 외교차관은 1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3개국 외교차관 회의를 개최한다. 3국 외교차관 회의는 이번이 처음이다. 3국 정상회담이나 외교장관 회담 등은 있었지만, 차관급 회동은 전례가 없었다. 3자 회동 외에도 미국, 일본과 양자 회동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회동은 미국의 적극적인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토니 블링큰 미국 부장관이 지난 2월 한일을 순방하면서 차관급 회동을 제안했다.

관건은 독도 도발과 과거사 사죄 여부이다. 3국이 한자리에 모인 것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모임 자체가 과거사나 독도 등 한일 간 난제의 진전을 보장하는 건 아니다.

이번 회동에는 한반도 차원에선 북핵 문제나 북한 인권 문제가 의제로 예상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중국과의 관계 발전 방안, 자유민주주의ㆍ시장경제 강화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글로벌 차원에선 기후, 에너지, 보건 분야 등이 예상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일 양자회동에선 과거사 문제를 당연히 논의할 것이고, 3자 회동에선 논의 진행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연설도 관심사다. 3국 회동에선 우선 이 문제가 공식적으로 다뤄지진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아베 총리 방미를 목전에 둔 상황에서 만나는 만큼 비공식적으로도 미 의회 연설에 대한 우리 입장을 미일 양국에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아베 총리의 방미와 상반기 내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한일 갈등을 매듭지으려 한다는 게 워싱턴 외교가의 평가이다. 미국의 의중대로 양국 간 진전이 가능할지 이번 3국 차관회동을 통해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

김상수 기자/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