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터널 대피시설 알고 보니 성인전용, 주먹구구 행정 적발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철도 터널 내 대피시설을 만들면서 성인 기준으로만 설치, 대피시설로 제구실을 못하게 한 사실이 적발됐다. 국산화 기술 이전을 약속받고 납품업체를 선정했지만, 해당업체가 이를 무시한 채 수백억원을 챙겼음에도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정황도 포착됐다.

8일 감사원에 따르면, 한국도시철도공단은 2009년 말 수서에서 평택까지 수도권 고속철도를 만들면서 51.1km의 율현터널의 태피통로를 설치했다. 당시 공단은 승객 중 노약자나 아동 등이 아닌 성인으로만 가정하고 피난 시나리오를 수립, 필요한 수직갱 수를 16개(최대 간격 3.7km)로 산정했다. 

하지만, 감사원 감사 시 노약자와 어린이 비율(5.7%)과 추가 피난 시나리오를 적용해본 결과 4~6개의 수직갱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밀하게 초기부터 계획을 수립하지 않아 대피시설이 제 구실을 못하게 된 셈이다. 또 노약자 및 부상자 수송을 위해 수직갱에 대피용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 측은 “현실적이고 다양한 피난 시나리오를 추가해 적절히 수직갱을 추가해서 대피간격을 줄이고, 엘리베이터 등을 추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계약 과정에서도 부실한 관리가 드러났다. 공단은 A업체와 2012년 7월 프랑스사로부터 호남고속철도 열차제어시스템을 기술이전받아 국내에서 생산ㆍ납품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A업체는 전원공급보드 5000여장 중 2409장은 완제품으로 수입하고, 나머지 2634장도 국내에서 단순 조립만 해 납품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산화로 기술을 이전한다는 조건은 이행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업체는 352억원 상당의 차익을 챙겼다.

서울도시철도공사도 감사 결과에 적발됐다. 6호선 돌곶이역 등 2개 역의 에스컬레이터 유지 보수 용역을 검수하면서, 교체 대상 부품 중 일부만 교체했는데도 교체를 완료한 것으로 검수했다. 또 열차를 궤도 변경할 때 쓰이는 설비 침목을 선정하면서 비슷한 가격에 저렴한 대안이 있음에도 별다른 경제성 검토 없이 그대로 선정해 4억7000여만원을 절감할 수 있는 기회를 잃었다.

감사원은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에게 감사결과 나온 문제점에 대해 관련 직원 문책을 요구하는 등 감사결과를 시행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