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흡연자, 술도 더 많이 마신다
[HOOC=강문규 기자]흡연자들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술을 더 많이 마시고 스트레스도 더 많이 받지만 운동을 덜해 건강관리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성질환자의 3명 중 1명은 여전히 담배를 피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작년 전국 22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흡연자는 월간 음주율과 고위험 음주율 모두에서 비흡연자보다 크게 높았다.

흡연자의 월간 음주율은 70.3%로, 비흡연자의 57.0%보다 20%포인트 가까이 높았으며 고위험 음주율은 흡연자가 27.3%로 비흡연자의 14.4%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월간 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한달에 1회 이상 계속 음주한 사람의 비율이며 고위험 음주율은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남성) 혹은 5잔(여성)을 넘고 주 2회이상 음주하는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이 같은 경향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사람의 비율, 즉 스트레스 인지율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흡연자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37.0%로 비흡연자의 25.6%보다 11.4%포인트나 높았다.

흡연자가 담배나 술, 스트레스에 함께 노출돼 있지만, 운동은 비흡연자에 비해 적게 하고 있었다.

걷기 실천율(최근 1주일 동안 1회 30분이상 걷기를 5일이상 실천한 사람의 비율)은 흡연자(40.8%)가 비흡연자(43.0%)보다 2.2%포인트 낮았다.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1주일 새 몸이 조금 힘든 중등도 신체활동을 1일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의 비율) 역시 흡연자(20.6%)가 비흡연자(21.8%)에 비해 소폭 낮았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만성질환자의 흡연율만을 따로 떼어내 분석했는데, 만성질환자 3명 중 1명은 흡연을 하고 있었다.

고혈압 진단 경험 남성의 흡연율은 34.0%로 2008년 조사 때(34.8%)와 별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병 진단 경험 남성의 흡연율은 39.%로 2008년(38.7%)보다 오히려 상승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