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속쓰린 4050세대 ‘위·식도 역류병’…“과식 등 원인”
[HOOC]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발생하는 ‘위·식도 역류병’ 환자의 절반은 40~50대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식도 역류병(질병코드 K21)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256만8천명에서 2013년 351만9천명으로 4년새 37.0%나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50대(24.4%)와 40대(20.2%) 환자가 전체의 44.6%를 차지했다. 60대(17.0%), 70대 이상(13.7%) 이상을 포함한 40대 이상 환자는 전체의 75.3%나 돼 고연령층 비중이 높았다.

반면 30대 12.6%, 20대 7.6%, 10대 3.1% 등 연령대가 낮을수록 진료인원이 적었다. 


위·식도 역류병은 가슴 쓰림이나 산 역류 같은 불편한 증상을 유발한다. 가슴 쓰림을 느낄 경우 ‘뜨겁다, 쓰리다, 아프다, 화끈거린다, 더부룩하다’ 등으로 증상을 호소한다. 역류 증상은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인후부로 역류하는 현상이다. 신물이나 쓴물이 올라온다는 표현을 자주 한다.
발병 원인으로는 고열량식과 고지방식 같은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음주와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등이 지목된다.

40~50대의 발병률이 높은 것은 잘못된 식습관을 가진 경우가 많은데다 스트레스에도 취약하기 때문이다. 나이가 듦에 따라 식도 괄약근의 기능이 약화된 것도 원인이다.

서정훈 일산병원(소화기내과) 교수는 “40~50대는 주 경제활동 연령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과식과 야식 같은 잘못된 식습관을 가진 경우도 많다”며 “음주·흡연과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의 증가도 이 연령대의 발병률이 높은 이유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위ㆍ식도 역류병을 예방하려면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고 조이는 옷을 입는 것을 피해야 한다. 금주와 금연을 실천하고 취침 전 음식물 섭취나 식후 2~3시간 내 눕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

역류를 악화시킬 수 있는 기름진 음식이나 탄산음료, 커피, 카페인 함유 차 등은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

발병한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이지만 치료 후 약물을 끊으면 재발률이 높은 편이어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생활습관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