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역시 삼성전자!…전문경영인 연봉킹 ‘빅3’ 싹쓸이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 146억 1위
일부 전문 경영인 총수일가 추월…그룹 2인자들 대거 상위그룹 포진


로또의 확률과 다니는 직장에서 최고에 오를 확률, 어떤게 더 높을까?

같은 확률이라면 단연 후자를 택하는 편이 나아 보인다. 등기임원 연봉공개 2년째인 지난 해에도 그룹 총수일가 못지 않은 샐러리맨들의 성공신화는 계속됐다.

헤럴드경제는 15개 주요 대기업집단별 전문경영인 ‘연봉 킹’(퇴직금 제외)을 조사했다. 전문경영인 가운데는 총수일가 못지 않거나, 오히려 총수일가보다 많은 연봉을 받는 경우도 속출했다.


전 그룹을 털어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전문경영인은 삼성전자 신종균 사장이다. 무려 146억원을 받았다. 전년의 124억원보다 20억원 넘게 늘었다. 삼성 그룹내 2~4위도 모두 삼성전자 차지다. 권오현 부회장(94억원), 윤부근 사장(55억원), 이상훈 사장(39억원) 등이다. 공교롭게도 신 사장을 제외하면 2~4위는 전년대비 연봉이 각각 41억원, 47억원, 36억원이 줄었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지난 해까지 삼성SDI에 근무한 박상진 사장이 연봉 킹이다. 박 사장의 급여는 8억원이 채 안되지만 무려 18억원의 상여금을 받은 덕분에 퇴직금 8억여원을 제외하고도 26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총수일가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보다 불과 1000만원 가령 작을 뿐이다.

현대차그룹에서는 지난 연말 최직한 현대제철 박승하 부회장이 퇴직금을 제외하고도 급여로만 29억원 가까운 연봉을 받았다. 전년 박 부회장의 급여가 13억5000만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년 새 두 배 이상 급여가 오른 셈이다. 27억원의 퇴직금까지 포함하면 박 부회장이 지난 해 회사에서 받은 돈은 56억원에 달한다.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을 제외하면 가장 많다.

현직에 남은 전문경영인 가운데 지난 해 최고연봉은 16억원을 기록한 기아차 이형근 부회장이다.

SK그룹에서는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의장이 28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그룹 내 최고 어른인 최신원 SKC회장(40억원)보다는 적지만,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30억원)에 육박하는 연봉이다.

LG그룹에서는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이 22억원으로 최고액 연봉을 자랑했다. 퇴직금을 포함하면 LG화학 김반석 부회장이 42억원으로 가장 많지만, 급여와 상여는 이 부회장이 15억원 이상 많다. 특히 이 부회장이 받은 상여금은 9억5100만원으로 LG그룹 구본무 회장의 9억4700만원 보다 많다.

GS그룹에서는 안방살림을 맡은 (주)GS 서경석 부회장이 10억원을 넘겼고, 한화그룹에서는 가장 자산이 큰 한화생명 최고경영자(CEO)인 차남규 대표가 9억80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포스코 권오준 회장 연봉은 채 11억원이 안돼 전임자인 정준양 전 회장의 19억원보다 현저히 줄었다.

현대중공업도 지난 해 퇴직한 이재성 전 회장이 퇴직금을 빼고도 37억원의 연봉을 받아 1위에 오르는 등 퇴직임원만 10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았을 뿐, 현직 전문경영인 가운데는 연봉 5억원을 넘긴 이가 없었다. 롯데 역시 신헌 전 대표가 퇴직금을 빼고도 20억원의 보수를 받아 연봉 킹에 올랐지만, 다른 전문경영인들은 5억원 이상 연봉수령자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밖에 효성, 두산, 신세계, 동부 등에서는 그룹내 최고참 전문경영인인 이상운 효성 부회장, 이재경 두산 부회장, 장재영 신세계 대표, 최창식 동부하이텍 대표 등이 그룹 연봉 킹 직장인이었다.

한편 CJ제일제당 손경식 대표는 무려 56억원의 연봉으로 ‘빅3’인 삼성전자 신종균, 권오현, 윤부근 대표에 이어 전문경영인 연봉 4위를 차지하며 노익장을 과시했다. 손 대표의 올 해 보수는 지난 해 보다 무려 26억원 이상 늘어난 액수다.

산업부·소비자경제부/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