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사람> 김해용 뉴질랜드 주재 대사, “영화감독 꿈꾼다면 뉴질랜드에 도전”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볼 수 있듯 뉴질랜드는 영화나 3D 분야에서 강국입니다. 영화산업이나 농업, IT에 관심 있다면 뉴질랜드에 도전하길 기대합니다.”

김해용 뉴질랜드 주재 한국대사는 뉴질랜드에 대한 인상을 묻자 “굴뚝이 없는 나라”라고 답했다. 제조업 대신 뉴질랜드는 영화산업이나 낙농업 등 무공해 산업을 키우고 있다. 이미 영화 ‘반지의 제왕’은 뉴질랜드의 대표 상품으로 발돋움했다.

면적에 비해 인구가 적은 뉴질랜드는 일할 사람에 목마른 나라이기도 하다. 

한ㆍ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양국이 한층 가까워지면서 한국과 뉴질랜드의 젊은이가 더 많이 오갈 기회가 열렸다고 김 대사는 강조했다.

뉴질랜드는 한국과의 FTA 체결을 위해 최근 존 필립 키 뉴질랜드 총리와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외교부 재외공관장회의에 참석 차 방한한 김 대사는 한ㆍ뉴질랜드 FTA와 관련, “다른 선진국과 협상할 땐 시장 접근이나 상품에 주안점을 두지만 이번 건은 조금 다른 각도에서 접근한 FTA”라고 전했다. 경제교류 뿐 아니라 인적교류까지 FTA에 포함시켰다는 의미다.

특히 영화산업은 뉴질랜드가 정부 차원에서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분야다.

김 대사는 “뉴질랜드에는 수많은 3D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다”면서 “시청각 공동제작 협정을 FTA에 편입시켰기 때문에 양국의 영화 공동제작도 활발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청각 공동제작 협정은 양국의 공동제작물에 대해 내국인 대우를 부여하는 것으로, 배급 및 재정 지원이나 세제 혜택 등을 받을 수 있다.

FTA에서 가장 민감했던 농업 분야에 대해서도 뉴질랜드의 선진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밝혔다.

김 대사는 뉴질랜드의 대표 과일 키위를 예로 들었다. 뉴질랜드 키위업체인 제스프리사는 전 세계에 농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제주도에도 제스프리사의 키위 농장이 있다. 제주도에서 키위를 생산하면 제스프리사는 전량을 구매, 판매ㆍ유통을 담당한다.

김 대사는 “키위를 재배하려면 저장 노하우가 중요한데 제스프리사가 제주도 농장에 이를 전수해준 것”이라며 “올해 1월 제주도에서 생산된 제스프리사 키위를 싱가포르에 8.4t 수출하는 등 제3국으로 수출까지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뉴질랜드의 낙농업 경쟁력을 한국이 활용할 수 있다는 취지다. FTA를 통해 뉴질랜드는 농축수산업 분야에서 연간 50명의 한국인에게 1년 교육ㆍ훈련용 비자를 발급하기로 했다.

김 대사는 “FTA를 통해 양국 청년이 오갈 수 있는 다양한 방도를 마련했다”면서 “원하는 분야가 있다면 뉴질랜드에 도전해 경쟁력을 배워갈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외무고시 17회로 미얀마 주재 대사, 제주도 평화협력과 국제관계대사 등을 거쳐 작년부터 뉴질랜드 대사를 맡고 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