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먼윙스 추락사고>부상하는 자살비행, 테러 가능성
[헤럴드경제=인터내셔널섹션]26일 뉴욕타임스가 저먼윙스 추락사고 원인을 조사하는 프랑스의 한 당국자로부터 “추락당시 조종실에는 조종사 1명만 있었다”는 사실을 특종 보도한 뒤 저먼윙스 여객기의 추락사고가 자살비행이거나 테러에 의해 발생했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정확한 사고원인은 아직 발견하지 못한 비행기록장치를 찾아낸 뒤 분석을 해봐야 밝혀낼수 있을 것이란 점은 분명하다. 하지만 추락사고 직전 조종실에 단 한 명의 조종사만 있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의혹은 증폭되고 있다.

▶자살비행 가능성=마지막 8분 산을 향해 비행기가 급강하는 동안 한번도 조난신호를 보내지 않는 등 교신이 없었고 급강하 중에도 항로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추측 가능한 시나리오다. 애초 교신이 없었던 것에 의문을 품지 않았던 것은 위급상황을 맞아 조종사들이 스스로 문제를 풀어보려다 변을 당한 것일 수도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는 두 명의 조종사가 조종간에 자리를 지키고 있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조종실에 기장이든 부기장이든 한 명만 남아 있을 때는 사정이 다르다. 9.11 테러 이후 전 세계적으로 민항기 조종사는 비행 중 조종실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불문율이 지켜지고 있다. 이를 깨고 두 명의 조종사 가운데 한 명이 조종실 밖으로 나갔다는 점, 추락사고 직전 조종실 밖으로 나갔던 조종사가 조종실로 다시 돌아왔는데, 남아 있는 조종사가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밖에 있던 조종사가 강제로 문을 부수고 들어오려 했던 점 역시 자살비행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 경우 조종실에 남아있던 조종사가 의도적으로 비행기의 기수를 내리고 자살비행을 시도했을 수 있다. 


사진설명=독일 베를린에는 추락여객기 희생자들을 애도하기 위한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비행기 추락지점에서 단한명의 생존자도 발견하지 못한 프랑스 항공당국은 비행기록장치가 담긴 블랙박스 등을 찾기 위해 밤낮없이 수색작업에 한창이다.



피터 괼츠 CNN 항공분석가는 “조종사 한 명이 밖에 있었다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조사에 참여한 한 프랑스 고위 관료도 익명을 요구하며 “추락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조종사들의 교신이 없었으므로 고의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매우 제한적인 정보에 근거한 사견임을 전제로 “화창한 날씨에 보통 속도로 이렇게 길게 하강하면서 어떤 연락도 취하지 않았다는 점이 이상하다”며 “아직 기술적 설명자료가 부족해서 사람에 의한 고의적 사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테러 가능성= 자살비행이 누군가의 강요와 협박에 의해 저질러진 것이라면 테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실자살비행이 맞다면 테러 가능성은 100%에 가깝다. 정신병자가 아니라면 백명이 넘는 무고한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갈 범죄행위를 저지르기는 쉽지 않다.

조사당국이 사고 직후 기장의 신분만 공개하고 부기장의 신분을 뒤늦게 공개한 것도 의문으로 지적된다.

이와 관련, 추락사고 직후 뭔가 의심쩍었던 조사당국이 부기장의 신분공개를 꺼린채 은밀히 수사를 진행했을 가능성도 있다. 음성기록장치외 비행기록장치가 담긴 또다른 블랙박스를 발견하지 못한 마당에 섣불리 수사사실을 공개했다가 된서리를 맞을 수 있다는 판단이 섰다면, 조사당국은 좀 더 신중히 은밀한 방식의 수사를 벌였을 가능성이 있다.


사진설명=독일 베를린에는 추락여객기 희생자들을 애도하기 위한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비행기 추락지점에서 단한명의 생존자도 발견하지 못한 프랑스 항공당국은 비행기록장치가 담긴 블랙박스 등을 찾기 위해 밤낮없이 수색작업에 한창이다.



이와 관련 외신이 애초 수사당국이 테러 가능성을 너무 쉽게 배제한 것에 잘못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이러한 당국의 태도 역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모든 시나리오는 현재로선 말그대로 가정일 뿐이다. 아직 찾지 못한 비행기록장치가 발견되면 좀 더 정확한 사고원인이 밝혀질 수 있다. 공개되지 않은 음성기록장치에는 이러한 가정과 다른 우발적 사고임을 입증할 증거들이 담겨 있을수도 있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