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사람-클래식계의 이단아 정경 오페라마예술경영硏 소장]“오페라+드라마 융합 새 장르 개척”
클래식과 대중문화 접목 ‘소통’ 강조
제주방문 요우커 대상 공연준비 중


‘오페라마’라는 콘텐츠로 새로운 문화장르를 개척하는 예술가가 있다. (사)오페라마 예술경영 연구소 소장인 정경<사진> 박사다.

경희대 음대 성악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정경 소장은 오페라로 대표되는 고전 예술과 드라마로 상징되는 대중문화의 요소를 융합해 ‘오페라마’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다.


“오페라마(OPERAMA)는 오페라(Opera)와 드라마(Drama)가 융합된 새로운 예술 장르다. 고전의 철학과 작품들을 현대적 매체와 어울릴 수 있도록 재해석하여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작업이자 아트 플랫폼이다.”

바리톤으로 활동하는 정 소장은 클래식과 고전은 대중화될 수 없다고 했다. 클래식은 더 고급스럽고 신성하게 가야한다고 한다. “순수예술이 대중적으로 가면 이도 저도 안된다. 순수예술 하는 사람이 대중화로 흔들려서도 안된다. 나는 짝퉁이다. 짝퉁은 나쁜 의미가 아니다. 이들을 잇는 중간다리다. 양쪽이 소통, 왕래할 수 있는 정거장이다. 우리가 살아남으려면 세계 중간 위치에서 왔다갔다 하는 플랫폼 나라가 되어야 한다.”

‘클래식계의 이단아’ 정 소장은 “현대인은 빠르고 자극적인 것에 익숙해 있어, 순수예술이 따라갈 수 없다”면서 “순수예술을 접하면 재미없다고 가버린다”고 말한다. 그래서 오페라마 형식의 '피가로의 결혼'을 보게 되면 재즈와 록을 접했던 사람은 훨씬 더 재밌게 감상할 수 있다.

요즘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정신 나간 작곡가와 Kiss하다’라는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정 소장은 매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모차르트, 베토벤 등 유명 작곡가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바탕으로 최근 이슈인 ‘갑’과 ‘을’ 문제를 끄집어내어 통찰력을 제공한다. 무대공연으로만 이뤄지는 오페라와 달리 현대 미디어와 연계되는 디지털 음원, 영상, 스토리텔링, 노래, 강의, 국제회의, 상황극 체험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조직내 소통, 조직문화에 대해 생각할 인문학적 시간을 갖는다.

그런데 왜 정신나간 작곡가일까? “사회에 엄청난 메시지를 준 사람은 제 정신으로 살 수 없다. 그런 작곡가를 30명 정도 캐치했다. 이런 메시지는 우리나라에 던지는 화두일 수 있다.” 정 소장의 오페라마 ‘정신 나간’ 시리즈는 ‘정신 나간 CEO와 Kiss하다’, ‘정신 나간 정치인과 Kiss하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된다. 그들의 생애와 당대 역사, 철학 등을 바탕으로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에 어떠한 교훈을 줄 수 있는지 이야기할 생각이다.

정 소장은 제주에서 중국관광객 등을 대상으로 해녀를 오페라마 형식으로 결합시켜 보여주는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다. 정경 소장의 오페라마는 한국문화가 가야 할 방향이기도 한 대표적인 융복합 콘텐츠다. 정 소장은 “오페라마는 이름만 퓨전이 아니다. 장르간, 온오프간 완전히 용해돼 새롭게 하나의 색깔로 탄생되는 작업이다”고 설명했다.

서병기 선임기자/w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