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남도 일자리 창출 ‘올인’, 2015일자리종합대책으로 1조1894억원 투입해 일자리 8만4000개 목표
[헤럴드경제(창원)=윤정희 기자] 경남도가 올해 일자리종합대책으로 1조1894억원을 투입해 청ㆍ장년 일자리 8만4000개를 만들기 로 했다. 이같은 계획은 17일 홍준표 경남지사 주재로 열린 지역고용심의회에서 확인됐다.

경남도는 올해 일자리가 곧 최고의 복지라는 기조 하에 안정적 청년 일자리 확보와 서민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올인 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경남도 일자리 종합대책의 주요 사업으로는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18개 사업에 576억원을 투입 5937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기업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주문식교육사업 등 청년취업 프로그램 강화로 청년들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일자리사업을 확대 할 예정이다.

서민을 위한 안정적 일자리 창출을 위해 취약계층 공공일자리 사업, 여성일자리 지원 사업, 노인일자리 사업, 장애인 일자리 사업, 사회적 일자리 사업 등 76개 사업에 3791억원을 투입 5만5385개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또한 기계ㆍ로봇산업 육성,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 사업 등 미래성장 동력산업, 중소기업 일자리 늘리기, 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육성, 국내ㆍ외 기업투자 유치 등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기업투자 확대를 위해 18개 사업 7514억원을 투입 1만2956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사업으로 지역내 19개 일자리종합센터 운영, 도ㆍ시ㆍ군 합동 권역별 채용박람회 개최, 대학생 취업멘토링 콘서트 개최를 통해 적극적인 청년층 취업 유도와 공공부문과 연계된 지역일자리 사업 등 5개 사업을 통해 1만 330개의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경남도는 지난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산ㆍ학ㆍ관 협업을 통한 ‘경남형 기업트랙’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협약기업의 지역 대학생 채용비율이 협약 전보다 3.1배 더 채용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올해는 지역내 대기업, 향토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트랙협약을 강력 추진해 대학생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기업트랙 협약체결 확대와 동시 ‘경남형 기업트랙’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남지역 전 대학의 트랙선발 인원이 실제 채용과 연결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성교육 프로그램 강화한다.

아울러, 경남미래 50년을 이끌어 갈 ‘5+1 전략사업’으로 사천ㆍ진주국가산단, 밀양나노융합국가산단, 거제해양플랜트국가산단 조성과 더불어 항노화, 로봇 산업 등 신성장 전략사업을 본격화하여 획기적으로 도민 일자리를 늘려나 갈 방침이다.

홍준표 도지사는 “경남도의 일자리 역점 시책들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경제단체 유관기관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올해 청년과 서민 일자리 창출과 취약 계층의 안정적 일자리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