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중국 투자유치 주력한다!!”
[헤럴드경제(대구)=김상일 기자]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청장 도건우)은 중국 투자유치에 주력키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대경경자청청은 최근 북경, 서안, 염성, 영파(닝보) 중국 내 4개 대도시에 대한 투자유치활동을 벌인 결과 염성경제기술개발구와 ‘한중경제협력단지’ 조성 및 투자유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대경경자청청은 이번 투자유치 활동이 현재 우리나라 입장에서 수출과 수입 모두 1위를 차지하는 최대의 교역국이지만 대 한국 투자규모는 아직까지 크게 미흡한 중국에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차별화된 투자환경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는 올해 2월 가서명된 한중FTA를 계기로 양국간의 경제교류와 협력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중국자본의 유치에 있어 대구경북 지역이 우위에 서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지난 13일 도건우 청장과 곽옥생 염성경제개술개발구 관리위원장이 체결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는 ‘한중경제협력단지‘ 공동 유치를 포함해 양국간 투자유치 프로그램 개발과 공동 홍보, 첨단 수송부품, 의료기기, ICT 등 주요 전략 산업분야에 대한 기업정보 교류와 합작투자 협력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강소성에서 최대 면적을 차지하고 인구 800만명인 염성시에 위치한 염성경제기술개발구는 전체 면적 200㎢에 60조원이 투자된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로 현재 기아자동차 등 120개 이상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어 글로벌 기업의 새로운 투자처로 발전하고 있다.

대경경자청청은 이번 MOU에서 주목되는 ’한중경제협력단지‘가 지난해 7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추진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현재 새만금과 연태시가 선도사업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연태, 염성, 연변 등 3곳을 지정ㆍ조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양 기관은 한국과 중국에 소재한 ’한중경제협력단지‘를 첨단산업의 생산거점 및 동북아 물류허브로 조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한국기업은 중국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고 중국기업은 대구경북 지역에 생산기지를 구축하여 “Made In Korea” 제품을 생산해서 중국으로 역수출하거나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게 된다.

또, 중국과 FTA를 체결하지 않은 미국, 일본, EU 기업들이 한국에 투자할 경우 간접적으로 중국과 FTA 체결 혜택을 보게 되므로 앞으로 이들 국가의 기업들도 많은 관심을 보일 것으로 대경경자청청은 기대하고 있다.

도건우 청장은 “’한중경제협력단지’ 지정은 외국기업을 대거 유치하는데 제도적 기반이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며 “앞으로 시·도와 협력하여 지역에 꼭 유치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한중 양국간의 경제교류가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고, 중국의 크고 작은 자본들이 해외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는 등 지금이 중국기업 유치에 최적기이므로 중국기업 유치 TF팀 설치, 중국어 홈페이지 확대 개편, 중국 홍보대사 임명 등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smile56789@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