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숨죽인 증시…해외변수를 주목하라
美 강달러·금리인상 시기 촉각
큰폭 하락 유가도 시장엔 악재
中 성장세 둔화도 부정적 영향



국내 증시가 해외발 변수 탓에 갈림길에 섰다. 뚜렷한 악재나 뚜렷한 호재가 아니기 때문에, 올라도 떨어져도 ‘이상하다’고 말하기 어려운 형국이다. 신(神)도 못 맞춘다는 주가 향배를 전망키 위해 과거 사례들을 동원해보지만, 언제나 현재와 똑같은 형국은 ‘처음’이기 마련이다.

▶强 달러=1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29%(228.11포인트) 올랐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1.35%와 1.19% 올랐다.

이날 미국 증시 상승의 원동력은 역설적이게도 미국의 경제 지표가 나빠졌기 때문이다. 제조업지수(엠파이어스테이트)가 전월보다 하락했고, 산업생산도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경제 지표 악화 덕에 미국 증시가 오르는는 다소 어색한 조합은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시장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FOMC=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회는 오는 17일과 18일 이틀간 열린다. 투자자들의 관심도 FOMC에 집중된다. 핵심은 회의에서 금리 인상 시기 가능성을 내비치느냐 여부다. 구체적으로는 ‘인내심(patient)’이란 단어가 계속 사용되느냐, 사라지느냐가 관건으로 꼽힌다.

시장에선 ‘인내심’ 단어가 사라지더라도 그것이 곧 6월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라는 해석과 함께, 지난해말부터 미국의 금리 인상은 이미 기정사실화 돼 있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측면과, 주식 시장 특성상 미래 가치가 선반영된 경우가 많은 탓이다. 주목할 것은 한국 시장이 19일(한국시간)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다. 채현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인내심 문구가 삭제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1분기 중 미국의 경기 회복 모멘텀이 약하고, 고용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임금인상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은 6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유가(油價)=‘석유 한방울 안나는 나라’인 한국의 증시가 저유가를 고민해야 하는 이색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 수출 경제가 70%를 넘게 차지하는 한국 경제 체질 상 저유가 상황은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 저유가는 곧 경기 둔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장에선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16일 국제 유가는 또다시 큰 폭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2.1%(96센트) 내렸다. 2009년 3월 이후 최저치다. 브렌트유 2.25%(1.23달러)도 하락했다. 주가더 큰 문제는 미국의 원유 비축량이 여전히 줄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3월 첫째 주 미국의 원유 비축량은 4억4890만 배럴이었다. 1982년이래 최고 기록이다. 유가가 당분간 추가 하락이 가능하단 해석이 나온다. 공급은 일정하지만 재고가 쌓인다는 것은 그만큼 수요가 적다는 분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론 저유가가 국내 기업들의 실적에 긍정적 전망을 미칠 것이란 관측도 많다. 원가 하락 요인이 발생하면서 상장사들의 영업이익 개선 폭도 커질 것이란 관측이다.

한 증권사의 선물 연구원은 “유가가 바닥을 쳤다는 관측이 1월말께 나왔다. 그러나 소폭의 바운스 이후 이젠 완연한 하락 추세”라고 말했다.

▶中 7% 경제성장=중국의 성장세 둔화도 국내 증시에 주요한 변수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지난 15일 “올해 중국 경제가 7% 전후의 성장세를 달성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회(인민대회당·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식 직후였다. 중국의 성장세 둔화는 과거 두자리수에서 한자리수로 떨어질 때에도 한국에 만만치 않은 파고로 밀려왔다. 이번엔 아예 ‘7%’라는 숫자를 제시하면서 중국의 성장성 둔화 가능성을 내비쳤다는 점은 주목할 지점이다. 그러면서도 리커창 총리는 경기 활성화를 위한 장단기 부양책을 적극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추가적인 금리 인하와 지급준비율 인하 가능성도 그의 부양책 카드로 꼽힌다. 16일 뉴욕 증시가 상승 마감한 것도 중국의 ‘7%대 성장’이란 악재보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사용 시사 발언이 더 큰 의미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