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방위 사정 광풍(狂風)…떨고 있는 재계
[헤럴드경제=최상현ㆍ양대근 기자] 재계를 향해 꺼내든 검찰의 사정(司正) 칼날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을 선언한 뒤 불과 일주일도 안 돼 포스코그룹을 비롯해 신세계ㆍ동부 등 그동안 의혹이 제기돼 온 기업들을 중심으로 검찰의 ‘수사 전선’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는 형국이다.

재계에 대한 사정 광풍으로 현재 전ㆍ현직 총수가 재판을 받고 있는 CJㆍ효성ㆍ동양ㆍSTX 등은 법원의 양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17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임관혁)는 최근 이명희 신세계 회장 등 총수 일가에 대한 계좌 추적에 나섰다.

신세계는 법인 계좌에서 발행된 수표를 물품 거래 대신 현금화해 총수 일가 계좌에 일부 입금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대주주가 법인 재산을 개인적 목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신세계의 이 같은 자금 흐름은 지난해 금융당국이 검찰에 통보했던 내용이다.

이와함께 이번에 신설된 공정거래조세조사부(부장 한동훈)는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김 회장은 그룹 내 투자회사와 계열사들로부터 수백억원을 횡령, 이 중 상당액이 김 회장의 자녀들에게 흘러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신세계ㆍ동부 등의 비자금 의혹 수사는 지난해 굵직한 공안수사에 밀려 수사 대상의 우선순위에서 제외돼 6개월에서 최장 2년여 동안 내사 단계에 있었다.

포스코건설 임직원의 비자금 의혹으로 촉발된 포스코그룹 전반에 대한 수사도 그룹의 전직 최고 수뇌부와 영포라인 등 정치권을 향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조상준)는 지난 13일 압수해 온 자료를 바탕으로 포스코건설 10여명의 전ㆍ현직 임원과 실무자들을 소환해 강도 높은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비자금 조성 시기에 회사의 수장으로 있었던 정동화 전 포스코 부회장에 대해 조만간 소환을 통보할 예정이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에 대해서도 소환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