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군의 굴욕…황기철 前총장도 소환 고강도 조사
합수단, 비리 묵인 정황 포착…국방부 수뇌부까지 수사 가능성


통영함 납품비리 사건을 수사하는 방위사업비리 합동수사단(단장 김기동)이 황기철(59) 전 해군참모총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17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정옥근(63) 전 총장에 이어 황 전 총장까지 검찰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방위사업비리 수사가 해군 뿐 아니라 국방부 수뇌부까지 확대될 조짐이다.

합수단은 황 전 총장이 2009년 통영함 사업자 선정 당시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준장)으로 재직하면서 부하 직원들의 시험평가서 조작 등 비리를 저지른 사실을 알고도 묵인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총장은 통영함에 탑재할 선체고정음파탐지기(HMS)의 평가 결과를 위조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방위사업청 전 사업팀장 오모(57) 전 대령 등이 올린 허위 서류를 결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수단은 황 전 총장의 배임 및 허위공문서작성 혐의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합수단은 황 전 총장이 공문서위조 등을 눈감아주는 대가로 부품 납품업체 H사나 브로커에게서 금품로비를 받은 사실이 있는지도 확인할 방침이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12월 통영함ㆍ소해함 음파탐지기의 성능문제와 관련해 황 전 총장이 장비획득 제안요청서 검토 등을 태만하게 한 혐의가 있다며 국방부에 인사자료로 활용하도록 통보했다.

황 전 총장은 통영함 사태 등 방위사업비리와 관련해 책임을 지겠다며 지난해 12월 말과 이달 초 두 차례에 걸쳐 사의를 표명했고, 이달 사표가 수리됐다.

황 전 총장에 앞서 정 전 총장은 재임 중이던 2008년 9월 유도탄 고속함과 차기 호위함 등을 수주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 주는 대가로 STX그룹 계열사에서 7억7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달 구속 기소됐다.

정 전 총장은 또 재임 중 독일 해군 정보함 장비제작업체로부터 통신 전자정보 수집장비의 납품 편의를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6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 2일 추가 기소됐다.

납품비리로 실무자와 납품업체간 뒷거래에 초점을 맞춘 합수단의 기존 수사가 전 총장 1명을 재판에 넘기고, 직전 총장에 대해서까지 수사하면서 해군 뿐 아니라 국방부 내 현 수뇌부로 수사 대상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태형 기자/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