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 적극적 경기부양으로 돌아섰나...리 총리”동원 가능한 수단 많다“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경기 둔화가 지속될 경우 동원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은 많다.”

중국의 경기 침체 압박이 심화되는 가운데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적극적 경기 부양책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1분기 경제성장률이 중국 정부의 올해 목표치인 7%에 못 미칠 경우 중국 정부가 좀더 공격적인 정책을 쓸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출처=관차

리 총리는 지난 1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 직후 가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올해 중국 경제가 7% 전후의 성장세를 달성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경제가 난관에 봉착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이미 10조달러를 넘어섰기 때문에 여기서 7% 성장하려면 중간 정도의 경제 규모 국가가 하나씩 생겨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그는 설명했다.

하지만 리 총리는 ”그럼에도 그동안 단기 부양책 사용을 자제해 왔기 때문에 동원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은 많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의 지난 1~2월 주요 경제지표가 기대치에 못 미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추가 경기부양을 시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고조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중국 당국은 양회(兩會ㆍ전인대와 정협) 개막 직전인 지난달 28일 석달만에 대출·예금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내리고, 2월엔 지급준비율도 0.5%포인트 인하했다.

전문가들은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를 방증한 것이라며 적극적인 경기부양 기조가 주축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런민은행의 자문기구인 통화정책위원회의 첸잉이 칭화대 경제관리학원장은 “3~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 이하가 된다면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며 “지급준비율이나 금리를 추가로 더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리커창 총리는 중국 경제가 경착륙에 빠질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선 강하게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과도한 지방정부 부채와 그림자금융 등이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그는 “중국은 금융시스템 리스크 발생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가 여전히 합리적인 구간에 있고, 세계 최대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확보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