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부동산시장 침체된다면 한국은?
[헤럴드경제]부동산 가격 하락은 자산가치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소비심리를 떨어뜨린다. 소비 위축은 기업의 투자 축소를 불러오고, 고용 감소에 이어 소비 부진이라는 악순환에 빠져들게 한다. 이처럼 부동산 가치 하락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중국 위안화 가치 하락이 침체에 빠진 중국 부동산 시장에 충격을 주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7일 중국 재경전문 사이트 금융계(金融界)에 따르면 중국사회과학원 금융연구소의 이셴룽(易憲容) 연구원은 최근 계속된 중국 위안화 가치 하락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들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6.12위안에서 6.27위안으로 오르며 위안화 가치가 2.4%가량 떨어져 2005년 환율제도 개혁 이후 단기 하락폭으로는 최대치로 기록됐다”며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자금이 중국을 이탈하면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되는 자금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투자자도 중국의 부동산시장에 다시 들여오려 하지 않고, 심지어는 빠져 나가는 경우도 나올 것”이라며 “최근 중국인들이 잇따라 해외 부동산시장으로 나가는 것도 위안화 가치 하락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위안화 가치 하락이 계속되면 기업의 투자 기회 감소, 투자 의지 약화, 시장 수요 부족, 주민 소비 부진 등으로 이어져 중국경제의 하강 압력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 교역 1위 국가인 중국의 위축은 한국경제의 치명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