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월세’ 지원받은 노숙인 80% 노숙 청산
-정착자 중 절반은 직업도 구해 사회복귀 성공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 화물차운수업에 종사하다 사고로 운전면허가 취소돼 2012년 12월부터 서울 영등포역 일대에서 노숙을 하게 된 김모(46)씨. 자활의지가 강했던 김씨는 노숙인 일시보호시설인 ‘옹달샘’의 도움으로 자활근로를 시작했고, 고시원에 정착하면서 노숙생활을 마감했다.

김씨는 이듬해 버스나 대형화물을 몰 수 있는 대형운전면허를 취득했고, 지난해 9월 A운수회사에 정식으로 취직해 버스운전사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씨는 서울시에서 넉달간 고시원 월세비용을 지원받았다.

서울시의 ‘단기월세지원’(임시주거지원)사업이 거리노숙인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거리노숙인 등 517명에게 단기월세를 지원한 결과 82.2%(425명)가 노숙생활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임시주거지원사업은 거리노숙인과 노숙위기계층에게 최대 6개월간 월 24만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행 첫해인 2012년에는 490명에게 지원해 78.5%(385명)가 주거를 유지했고, 2013년에는 572명 중 445명(77.3%)이 노숙생활을 청산했다.

올해는 이 비율이 처음으로 80%를 넘었다. 단기월세를 지원받은 거리노숙인 10명 중 8명이 노숙생활을 마감한 셈이다.

서울시는 특히 주거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425명 중 218명은 일자리를 얻어 사회에 복귀하는데 성공했고, 144명은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돼 안정적으로 국가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거리노숙인의 월세를 지원하면서 ▷주민등록말소 복원 ▷장애인등록 ▷의료 ▷취업 면접 및 출퇴근 교통비 ▷쌀, 김치 등 생필품 등도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주민등록이 말소된 노숙인 65명은 주민등록이 복원됐고, 2명은 장애인으로 등록돼 장애인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다.

또 노숙인 123명은 서울시의 도움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고, 505명은 1인당 10만원 상당의 생활용품을 지원받았다. 서울시는 이 밖에 공공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자격증 취득을 돕는 등 자활의지가 있는 노숙인이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도 거리노숙인 및 노숙위기계층 550명에게 월세를 지원한다. 특히 체계적인 사례관리를 통해 월세를 지원받는 모든 노숙인이 자활에 성공할 수 있도록 이끈다는 방침이다.

강종필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임시주거지원사업은 주거비뿐만 아니라 일자리, 수급신청 등 지역사회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준다”면서 “노숙인의 실질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