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FTA 민간대책위, “韓ㆍ中 FTA 가서명 환영…피해 대책 소홀함 없어야”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FTA 민간대책위원회가 25일 한국과 중국 사이에 이뤄진 ‘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 가서명’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FTA민간대책위원회는 지난 2006년 우리나라의 주요 FTA협상에 대한 업계 의견수렴, 대정부건의, 협상지원, 홍보 등 FTA에 대한 민간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기구로 출범했으며, 경제4단체(무역협회, 전경련, 대한상의, 중기중앙회)와 은행연합회 등 업종별 단체, 연구기관 등 총42개 단체ㆍ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FTA 민간대책위는 “ 이번 가서명으로 상품양허 수준과 협정문 세부 내용이 공개됨에 따라 경제계는 FTA를 활용한 중국 내수시장 진출 전략 마련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며 “경쟁국에 앞서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소득 증가와 내수시장 확대에 대비해 중소형 생활가전, 의료기기, 기능성 의류 등 소비재 품목의 관세를 철폐ㆍ인하했고, 중국 농수산품의 92.8%를 개방해 우리 농수산식품의 대중 수출 확대의 전기가 마련됐다”며 “건설, 환경, 문화 등 중국 서비스 시장을 개방하고 발효 2년후 추가 협상을 통해 개방 확대 가능성을 열어둔 점도 미래를 위한 포석이라 평가할 수 있고, 오랜시간 애로사항으로 지적해온 통관, 인증, 지재권 등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된 것도 주목할 만하다”고 높게 평가했다.

다만, FTA 민간대책위는 정부에 수혜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피해가 예상되는 산업에 대한 대책 마련도 소홀하지 않아야 한다며 “특히, 중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노동집약적 제조업과 경쟁해야 하는 중소기업의 피해가 우려되는바 피해대책과 함께 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FTA 민간대책위는 FTA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분열에서 벗어나 후생을 증대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FTA 민간대책위는 “향후 공식서명과 국회 비준동의 등 발효를 위한 절차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부탁드린다”며 “경제계도 한ㆍ중 FTA를 계기로 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출 증대에 힘써 경제 활성화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