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입사원 10명 중 3명은 30대”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구직 준비기간이 길어지면서 첫 취업 연령대가 높아지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461개 기업을 대상으로 ‘신입 지원자의 연령’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379개사)의 신입 지원자 중 30대의 비율은 평균 33%인 것으로 집계됐다.

채용한 신입사원의 평균연령이 전년대비 높아졌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44.1%였다.

다만,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체 기업(461개사)의 2곳 중 1곳 이상(59.4%)이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기존 직원들이 불편해해서’(53.3%, 복수응답), ‘조직 위계질서가 흔들릴 것 같아서’(48.2%), ‘연봉 조건 등 눈높이가 높을 것 같아서’(35.8%), ‘업무지시를 잘 따르지 않을 것 같아서’(30.7%), ‘여태까지 취업을 못한 이유가 있을 것 같아서’(20.8%), ‘업무 습득이 느릴 것 같아서’(16.1%) 등이 있었다.

나이가 많다고 생각되는 기준은 남성의 경우 평균 32세(4년제 대졸 기준), 여성은 30세였다.

실제로 신입 채용을 진행할 때 나이가 많은 지원자의 비율은 평균 39%였고, 65%의 기업에서 이들을 신입사원으로 뽑기에 나이가 많은 편이라 다른 조건과 관계 없이 탈락시킨 적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신입사원의 연령 상승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서열, 호칭 등 갈등 야기’(41.2%, 복수응답), ‘신입사원 조기퇴사 및 이직 증가’(20%), ‘연공서열보다 능력중심 문화 정착’(18.2%), ‘직원 단합력 감소’(15.6%), ‘개인주의적 조직 문화 확산’(11.5%)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게 나타나는 등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

연령 상승의 원인으로는 ‘너무 높은 취업 눈높이’(30.4%), ‘좋은 일자리 공급 부족’(13.7%), ‘구직자의 취업 양극화’(11.3%), ‘지나친 학력 인플레’(10.9%) 등을 들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