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트홀릭] 내가 사는 집, 네가 사는 집
[헤럴드경제=김아미 기자]회색빛 콘크리트 외관, 파란 지붕, 늘어선 에어콘 실외기….

한국에 정착한지 7년, 홍대 사는 독일인 교수 잉고 바움가르텐(Ingo Baumgartenㆍ51)은 서울의 모습을 이렇게 그렸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도, 18세기 프랑스 파리에서도 , 19세기 뉴욕 맨하탄에서도, 역사적인 도시 계획들은 당대 사회의 열망을 반영했다. 이방인은 1970~1990년대 사이에 지어진 한국 콘크리트 주택의 독특한 주거양식을 관찰했다. 서구 모던 주택의 외양을 본땄지만, 이방인의 눈에는 가장 한국적인 건축 양식으로 비춰졌다. 그가 해석한 서울의 집이 ‘서울리언’들의 눈에 익숙하면서도 낯설게 다가온다. 

무제 (서울, 홍대, 콩크리트 계단과 길), 캔버스에 유채 130 x 162㎝, 2014 [사진제공=한미갤러리]

바움가르텐의 개인전이 27일부터 강남구 신사동 한미갤러리에서 열린다. 지난해 서울시립미술관 ‘유니버설 스튜디오, 서울’전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작가들과 함께 전시에 참여한 바 있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작가의 초창기 서울 거주 시절인 2009년 주택시리즈를 비롯해 서울 풍경을 담은 최신작까지 도시와 건축에 대한 통찰력 있는 작품들을 폭넓게 선보인다.

전시 타이틀은 ‘관점(Point of view)’. 3월 25일까지 볼 수 있다.

/am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