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누리 표단속…정작 李 원내대표 땐 표단속 안해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새누리당이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표결을 앞두고 ‘의원 동원령’을 내리고 표단속에 들어갔지만, 정작 이 후보자가 원내대표 시절에는 총리후보자 표결 관련 당내 의원들의 ‘자율 투표’를 중시했다.

지난해 6월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역사관 논란에 청문회 실시조차 불투명하던 때 당시 이 원내대표는 “헌법기관인 국회의원 한 분, 한 분의 의사 결정을 존중하겠다”며 “의원 결정에 불필요한 영향을 미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의원들이 새누리당 울타리 안에 있지만, 울타리 안에서 어떻게 할지는 각자 판단”이라면서 “문 후보자 문제는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국민과 의원들의 뜻에 따라 순리대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완구 국무총리후보자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답변에 앞서 물을 마시고 있다.이길동기자.gdlee@heraldcorp.com

이어 “인사청문회 강행이나 강요를 하지도 않았고 심지어 설득도 하지 않았다”고 당시 의원들에게 당론을 강요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반면 현재 이 후보자가 청문회 검증 대상이 된 상황에서는 새누리당에서 행여 있을 수 있는 강행 처리를 염두에 둔 문자동원령이 진행되고 있다. 야당이 이 후보자의 녹취록에서 드러난 언론관 등을 문제삼으며 인준을 거부할 수 있다는 기류가 강해지면서 새누리당 단독으로 표결을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 대비하려는 셈이다. 새누리당 한 초선 의원은 “일단 당이 이 후보자 인준을 강행하려는 분위기 같다”며 “지도부에서 (국회 가까운 곳에 머물어달라는)문자가 날라오고 총동원령이 내려왔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당시 문 후보자의 ‘일본 식민지 지배는 하나님 뜻’이라는 발언에 역사관 논란이 일며 야당의 자진사퇴 주장이 제기됐을 때 이 전 원내대표는 “적정 여부를 가리는 법적 절차를 통해 국민적 판단을 구하는 것이 우리 국회의 책임이자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

앞서 안대희 총리후보자가 전관예우 차원에서 과다한 변호사 수임료를 받았다는 논란과 관련해서도 이 전 원내대표는 “앞으로 법조계도 이런 문제에 대해 많은 논의와 함께 국민적 눈높이에 맞게끔 가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처럼 국민적 판단과 눈높이를 강조했던 이 후보자가 이제는 자신의 ‘언론관’을 국민의 판단과 눈높이에 따라 심판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이 후보자의 총리로서 적합성을 묻는 질문에서 전체의 39%가 적합하다고 답했다.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은 20%였다. 나머지는 의견을 유보했다.

하지만 이는 이 후보자의 녹취록 파문이 일기 전인 지난달 말에 실시된 조사여서 이 후보자의 “언론인들 내가 대학 총장으로 만들어주고…” 등의 언론관이 반영된 조사는 아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