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朴대통령 “‘문화창조 융합벨트’, 빅뱅의 시작”
-박 대통령 문화창조 융합벨트 출범식서 밝혀
-이제까지 ‘기술’ 중심이었던 창조경제, ‘문화’로 폭과 깊이 확대 의미
-“문화콘텐츠 산업은 ‘21세기의 연금술’” 높이 평가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11일 “‘문화창조 융합벨트’를 통한 협력을 다짐하는 이 자리가 바로 ‘빅뱅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서울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 융합벨트’ 출범식에 참석해 “‘빅뱅’을 일으키는 ‘핵’은 창의성을 가진 ‘사람’이며,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네크워크’가 그 기폭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화창조 융합벨트’는 정부, CJ그룹 등이 2017년까지 1조2600억원을 투입, 문화창조융합센터(상암동)ㆍ문화창조벤처단지(서울다동)ㆍ문화창조아카데미(홍릉)ㆍK-컬쳐밸리(경기도 고양) 등을 구성하는 것이다. 콘텐츠에 대한 ‘기획→제작→연구개발(R&D)인재육성→공연장 운영’ 등이 이뤄지게 만들겠다는 구상을 담고 있다.

정부가 앞서 출범시킨 전국 7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기술 중심이었다면 이번엔 문화로 창조경제의 폭과 깊이를 확대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산업으로서의 문화가 갖는 가치에 주목했다. 그는 “문화와 상품의 합성어인 ‘컬덕트(culduct)’라는 말까지 사용될 정도로 문화와 산업이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며 “문화콘텐츠 산업은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곧 상품이 되는 창조경제의 대표 산업이며, 관광ㆍ의료ㆍ교육ㆍ제조업 등 다른 산업에 창조적 영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21세기의 연금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ㆍ일본 등 세계 각국이 문화강국을 위한 치열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언급, “문화산업이 우리 미래 성장동력의 핵심”이라며 “문화창조 융합벨트의 출범은 대한민국 문화융성을 위한 강한 의지의 시작으로,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아주 뜻 깊은 날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문화창조 융합벨트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창의적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콘텐츠의 기획-제작-구현에 이르는 가치사슬 전반을 지원하고, 그 성과를 인재양성과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유기적 선순환 구조의 플랫폼으로 만들어 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창작자와 전문가의 만남으로 문화가 산업이 되고 다양한 장르 창작자간의 융합으로 산업이 예술로 진화하는 새로운 융합문화의 클러스터로서 대한민국 문화융성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장르간 벽을 허물고 소통하며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융합해창조경제와 국민소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