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시아 경제 언제까지 버틸까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푸틴의 러시아 경제, 연말께 시험대?’

미국 등 서방의 경제제재와 국제유가 하락, 루블화 가치폭락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뒷걸음질 쳤던 러시아가 서방의 경제제재 공세에서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말 국가부도위기 상황까지 몰렸던 러시아가 올해도 그 위기를 잘 넘길지는 미지수지만 빠르면 올 연말께가 그 시험대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제전문매체 CNN머니는 8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얼마나 오래 완벽한 경제 붕괴를 피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에, 올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 정도가 그 한계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게티이미지]

CNN머니는 올해 연말부터 러시아의 외환보유고 부족사태가 발생해 1년 가량 더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필립 어글로우 MNI인디케이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외환보유고가 심각한 수준으로 줄어들며 내년 상반기까지 이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경제위기)압박을 받고있는 국가들은 외환보유고를 매우 빠르게 소진한다”며 “1998년처럼 예상보다 더 빨리 디폴트를 보게될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국제유가가 현 수준에 머물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더라도 러시아의 현금을 이용한 완충효과가 2년 간 지속될 수 있다고 예상하기도 했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루블화 폭락을 막고 기업 구제금융과 위기 대응을 위해 1340억달러를 썼다. 러시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월 4989억달러에 달하던 러시아의 외환보유고는 1년 만인 지난달 3762억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지난 2009년 3월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러시아는 6000억달러의 해외 채무가 있으며 대다수가 기업과 금융권이 빚을 지고 있다. 이는 국가 경제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는 요소다.

한편 러시아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마이너스 5%로 예상되고 있으며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역시 15%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루블화 가치는 역대 최저치로 떨어지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 내 금융시장에서 기업들의 철수가 이어지고 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