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손톱만한...비둘기의 뇌...학습은 아동수준
뇌 크기가 집게손가락 손톱 정도인 비둘기도 어린이들이 단어를 배우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물을 인지하고 학습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대 에드 와서먼 교수팀은 5일 국제저널 ‘인지’(Cognition)‘에서 비둘기의 인지ㆍ학습 방법이 어린이들의 단어 학습 방식과 비슷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비둘기들에게 아기, 개, 오리, 꽃, 모자, 케이크, 자동차, 전화 등 16가지 범주 사진과 이들 범주에 속하는 사물 흑백사진 128장을 보여줬다. 그후 사물들이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 분류하게 하는 학습 실험을 했다. 

비둘기들은 사진 128장을 16개 범주로 성공적으로 분류해냈다. (출처=미국 아이오와대 연구진)

특정 사진을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준 다음 그것이 속한 범주와 나머지 15개 범주 중 무작위로 선택한 한 범주 중에서 선택하게 한 다음 맞는 범주를 선택하면 먹이를 주는 방식이다.

그 결과 비둘기들은 이 실험 과정을 제대로 학습했을 뿐 아니라 이 학습을 토대로 4장씩의 새로운 사진을 16개 범주로 성공적으로 분류해냈다.

와서먼 교수는 “동물들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똑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인간과 동물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고 그것이 잘 알려져 있지만,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공동연구자인 밥 맥머리 교수도 “어린이들은 별 배경지식 없이 수천 개의 단어를 배우는 학습을 하는데 사람들은 이런 학습을 오랫동안 인간 특유의 학습방식으로 생각해왔다”며 “하지만 이 연구는 어린이들의 이런 학습 방식을 다른 많은 종들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비둘기와 어린이의 학습법이 같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소셜미디어섹션/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