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최대 소 축산지역 이천, 안성에 이어 두번째 구제역 확진…농식품부 “일부에서 한정적 발생”
[헤럴드경제]지난달 31일 의심 신고가 접수된 경기도 이천의 한우농가에 대해 구제역 확진판정이 내려졌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구제역에 소가 감염된 것은 지난달 6일 경기도 안성에 이어 두 번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전날 한우 63마리를 기르는 이천 소재 농가의 소가 의심 증상을 보여 정밀검사한 결과 1마리가 구제역으로 확진됐다”면서 “해당 가축은 살처분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장의 다른 소 한 마리는 침을 흘리는 증상을 보였으나 구제역이 아닌 것으로 판명났다”면서 “같이 사육하던 다른 소들에 대해 검사를 진행 중이며 결과는 이르면 오늘 중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당 농장에서 추가감염 소가 나올 가능성은 낮아보인다”고 덧붙였다.

해당 농장은 지난 24일 구제역이 발병한 돼지사육 농가와 3.8㎞ 떨어져 있으며, 농장주는 지난해 10월께 백신을 접종했다고 보고했다는 것이 농식품부 설명이다.

소에서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안성농장의 경우도 사육 중인 소 47마리 중 구제역에 걸린 한마리만 살처분했다.

당시 백신 접종시 항체형성률이 높다고 밝혀온 소에서도 구제역이 나오면서 백신 효과와 방역대책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편, 이천은 소 4만5000여마리와 돼지 30여만 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인근의 안성은 돼지 29만여마리와 소 10만여마리를, 용인은 소 1만1000여마리와 돼지 20여만마리를 사육하는 등 이 지역은 국내 최대 소ㆍ돼지 축산지역으로 꼽히고 있어 구제역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만큼 백신 외의 대책이 없다”면서 “소는 항체양성률이 90%대인 만큼 항체가 없는 개체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달 16~17일 전국 축산차량을 대상으로 일제소독을 실시한 뒤에도 구제역이 계속 나오는 데다 차량과 인구 이동이 많은 설이 3주 정도 앞으로 다가온 만큼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