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능 포비아 해소한다” 부산시, 원자력 안심도시 추진 ‘방사능 감시시스템 구축ㆍ식품방사능 오염실태 조사’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고리원전 1호기 수명연장 논란과 기장 해수담수화 사업 등으로 촉발된 부산시민들의 방사능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부산시가 방사능 안심도시 구현을 위한 종합대책을 내놨다.

부산시는 ‘원자력으로부터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도시 구현’을 목표로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 구축ㆍ운영과 함께 유통식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 실태조사를 계획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부산시는 30일 오후 2시 시청 15층 재난종합상황실에서 정경진 행정부시장을 포함한 위원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시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 회의’를 개최한다. 가장 먼저 논의되는 것은 부산시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하는 문제다. 후쿠시마 원전유출수와 고리원전 노후화로 우려되는 식품중 방사능 오염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유통식품 중 방사능 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 해소와 정확한 방사능물질 검출여부 확인을 위해 올해중 유통식품 방사능 오염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실태조사는 후쿠시마 원전 유출수 원인에서 기인한 오염도, 고리원전 인근 농수산물 오염도, 학교급식 재료 방사능 오염도 조사 등으로 나눠 실시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방사성 물질 검출 논란 등에 휩싸인 해수 담수화 수돗물도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수질검사기관에 검증을 받기로 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30일 기장군에 있는 해수 담수화 시설의 정수과정을 거쳐 생산한 물을 채수해 미국 국제위생안전 인증기관(NSF·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에 수질검사를 의뢰한다. NSF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전문 수질검사 협력기관으로 300명 이상의 공중보건과 안전성 분야 과학자, 기술자,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또한 이날 회의에서는 고리원전 등 원자력시설 방호ㆍ안전대책, 방사능 재난대비 비상대응역량 강화 등 주요업무 추진상황,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재설정에 따른 현황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앞으로 원전안전과 관련한 자문 역할을 넘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부산시와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시민들의 원전사고로부터 안전하고 방사능 피해에 대한 불안감 해소에 적극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