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준 새해 첫 FOMC…글로벌 경제 불투명 상황 감안 때 “금리인상 시 인내심” 의견 유지할 듯
[헤럴드경제=인터내셔널섹션]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27∼28일(현지시간) 이틀간 금리·통화정책 결정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다.

연중 8차례 열리는 FOMC 회의 가운데 올해 처음 열리는 것이다. 회의 결과는 28일 오후 2시(한국시간 29일 오전 4시) 성명 형태로 발표된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도 없고 미국의 올해 경제 전망도 따로 발표하지 않는다.

연준이 지난해 10월 회의에서 양적완화(QE) 프로그램의 종료를 선언하고 나서 FOMC 회의를 보는 시장의 관심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신호가 나오느냐에 쏠려 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과 관련한 선제안내(포워드가이던스)로 그동안 써온 ‘상당 기간 초저금리 유지’라는 표현을 ‘금리 인상 시 인내심을 갖겠다’는 언급으로 대체한 바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 [사진=게티이미지]

옐런 의장은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적어도 향후 두 차례 회의, 즉 이번 FOMC회의 및 3월 중순 회의에서 정책 변경이 없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따라서 연준은 이번 FOMC 회의에서 같은 문구를 성명에 그대로 담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 및 글로벌 경제 상황이 더 불투명해진 것도 연준의 금리·통화 정책이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싣는다. 국제 유가가 계속 하락하면서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디플레이를 우려할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어닝 시즌의 미국 기업실적이 기대에 못미친다는 점, 그리스 총선에서 긴축 정책에 반대하는 좌파가 승리해 유로존의 앞날이 이전보다 더 우려스럽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리인상 시기가 당겨질 이유는 없다.

미국의 12월 실업률이 5.6%로 떨어지면서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시켰음에도 근로자 임금 상승이 동반되지 않는 점 역시 연준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다국적 금융기관인 바클레이즈는 26일 낸 ‘리서치 노트’에서 “이번 FOMC 회의는 연준이 달러 강세와 저유가가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재평가할 좋은 기회”라며 “회의 성명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현 경기·고용 추세가 이어진다면 연준이 그동안 약속했던 오는 4월 말이나 6월 중순, 또는 9월 말께 FOMC 회의에서 첫 금리 인상 조치를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