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범죄ㆍ화재 등 맞춤형 안전정보 한눈에…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지역 확대
시범 실시 15개 시군구서 100곳 늘어난 115개 시군구
교통ㆍ재난 등 4대 분야…인터넷ㆍ스마트폰 서비스
기존 15곳엔 시설ㆍ산업ㆍ사고 등 신규 4대 분야 제공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경기 안산에 사는 주부 박모(여ㆍ45) 씨는 밤마다 학원을 마치고 동네 골목길을 지나 집에 오는 여고생 딸이 늘 걱정이다. 최근 이 지역에서 끔찍한 범죄가 일어나기까지 했다. 이런 박씨에게 생활안전지도가 도움이 될 전망이다. 주변 골목길의 안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딸이 귀가 시간에 맞춰 안전한 길을 미리 확인하고 조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강도, 성폭행 같은 범죄, 화재, 산사태 같은 재난은 물론 교통사고 정보까지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생활안전지도의 혜택을 받는 지역이 늘어난다.

국민안전처는 26일부터 이 같은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대상 지역을 전국 115개 시군구로 확대 한다고 이날 밝혔다. 4대 안전 분야(치안ㆍ교통ㆍ재난ㆍ맞춤 안전)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시범 실시 중인 15개 시군구 외에 100곳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115개 시군구 주민들은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사이트(www.safemap.go.kr)를 통해 사고ㆍ범죄 다발 지역, 안전시설 위치 등 다양한 정보를 지도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단 아이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심사 기간 때문에 다음달 초쯤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안전처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며 기능도 대폭 보완했다. 초보자 편의를 위해 ‘도움말’, 500m 내 가장 가까운 안전시설 범위와 거리 등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내 주변 안전시설’을 추가했다.

스마트폰의 경우 앱 실행과 동시에 현재 위치한 곳의 치안, 교통 등 안전정보를 바로 제공받을 수 있는 ‘내 주변 알림’ 기능과 가족, 친구 등에게 문자메시지 등의 메신저를 통해 안전정보를 알릴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유 기능이 지원된다.

이와 별도로 기존 15개 시군구는 시설(가스 사고 등)ㆍ산업(산재 등)ㆍ보건 식품(질병 등)ㆍ사고(추락 등) 등 새로운 4대 안전 분야 관련 서비스를 이날부터 생활안전지도를 통해 제공받게 된다.

안전처는 연말까지 기존 4대 분야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전국 모든 시군구(229곳)로 확대한다. 신규 4대 분야는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올해 안에 내비게이션ㆍ지도 포털 업체등과도 연계할 계획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