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의 끊임없는 교수 사랑…‘폴리페서’ 우려 목소리도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1ㆍ23 청와대 인사’에서도 어김없이 교수들이 청와대에 대거 입성했다. 일각에서는 정권때마다 되풀이되는 교수들의 정권 참여, 이른바 ‘폴리페서(politics+professor)’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청와대는 23일 신임 국무총리를 비롯한 수석비서관과 특보에 대한 인사와 함께 조직개편 등 인적쇄신안을 발표했다.

이번 인적쇄신안에도 서 새로 내정된 수석비서관과 특보에 교수 출신이 대거 포함됐다.

국정기획수석실에서 개편된 정책조정수석실의 수석에는 현정택 인하대 국제통상학부 교수(전 KDI 원장), 미래전략수석에 조신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가 각각 내정됐다.

안보특보에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 홍보특보에 신성호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전 중앙일보 수석논설위원)이 이름을 올렸다

교수ㆍ전문가 집단을 중시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이 이어졌다는 평가다.

실제로 박근혜 정부 1기 내각에서는 최문기 미래ㆍ류길재 통일ㆍ이동필 농림축산식품ㆍ문형표 보건복지ㆍ방하남 고용노동ㆍ서승환 국토해양부 장관 등 6명이 교수 혹은 연구원출신이었다. 2기 내각에는 최양희 미래ㆍ김명수 교육ㆍ류길재 통일ㆍ정종섭 안행ㆍ이동필 농림ㆍ문형표 복지ㆍ서승환 국토 등 7명으로 증가했다.

비단 이번 정부 뿐만 아니다. 교수들은 어느 정권에서나 중요한 인재풀 역할을 했다.

이명박 정부 당시에는 이른바 ‘폴리페서(politics+professor)’ 논란이 일어날 정도로 교수가 정치권에 득세했다. 이전 노무현 정부 등에서도 교수들이 브레인 역할을 담당했다. 과거박정희 대통령 시절 경제개발을 이끈 ‘서강학파’의 대부 남덕우 전 총리는 교수 출신으로 국정에 큰 족적을 남긴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이처럼 교수가 역대 정권마다 중용되는 것은 관료 출신보다는 전문지식을 갖춘 지식인을 기용해 공직 사회를 개혁하겠다는 집권세력의 의지가 반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관피아’논란이나 ‘낙하산 인사’ 비판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사대부라 불리는 학자들이 정권의 중심에 있던 조선시대의 전통이 남아있다는 분석도 있다. 일본은 교수들을 거의 고위 공직자로 쓰지 않는다.

하지만 교수의 정권 참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국정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설익은 정책 결정으로 일을 그르친 교수 출신 고위관료가 허다하다. 관료집단의 ‘저항’도 교수들의 개혁의지를 꺾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돌아갈 자리가 있는 만큼 교수들에게 사즉생(死卽生)’ 의 치열함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세월호 참사이후 관피아에 대한 비판이 워낙 거센만큼 향후 청와대 뿐 아니라 공기업 CEO(최고경영자) 등 여러 인사에서 교수들이 더욱 득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앞으로 교수들만 좋겠다는 말이 나올정도”라며 “인적 배경과 리더십이 없는 교수가 개혁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우려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