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법, “과거사 보상법 보수적 기준 적용”
[헤럴드경제]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민주화운동보상법)에 따라 보상을 받은 경우 국가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에 별도 위자료를 청구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고영한 대법관)는 김우종(85) 전 경희대 국문과 교수와 소설가 이호철(83)씨 등 7명이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의 상고심에서 “총 6억96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깨고 원고 패소 취지로 판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김우종 교수와 이호철씨 등은 1974년 1월 유신헌법에 반대하고 개헌을 지지하는 내용의 성명 발표에 관여한 뒤 불법 연행돼 가혹행위를 당한 끝에 범행을 허위 자백하고 그해 10월 집행유예 확정 판결을 받았다.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09년 재심을 권고했고, 재심을 심리한 법원은 2011년 김 교수와 이씨 등의 국가보안법·반공법 위반 혐의에 대해 각각 무죄를 선고했다.

지난 2003∼2008년 민주화운동보상법상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지정돼 생활지원금(보상금)을 받았던 김 교수 등은 재심에서 무죄를 확정받은 뒤 2012년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1심에서 패소한 정부는 2심부터 ‘신청인이 동의해 보상금을 받으면 민주화운동으로 입은 피해에 대해 재판상 화해가 성립한다’는 민주화운동보상법 18조 2항을 들어 소송이 적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2심 재판부는 적극적 손해와 소극적 손해,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을 각각 청구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례를 인용, 민주화운동보상법에 의해 재판상 화해가 성립된 피해는 적극적·소극적 손해에 그친다고 해석했다.

이어 생활지원금을 받았더라도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다며 김 교수 등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대법원은 정부 주장을 받아들여 소송을 각하했다.

대법원은 “김우종 등이 보상금 지급 결정에 동의한 이상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이 생긴다”며 “따라서 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입은 피해에 대해 위자료를 청구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유사한 규정을 둔 5ㆍ18 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을 비롯한 과거사 피해보상법률의 관련 규정 해석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