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CCTV의무화 논란 확산…“실시간으로 보게 해달라” vs “교사도 인권 있다”
[헤럴드경제=서지혜 기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를 설치한 어린이집이 과연 애들을 보호하려고 그러는걸까요, 그냥 원장 편의를 위해서 그러는 곳도 많아요. CCTV 검사한다고 그런 교사가 없어지는 게 아닌데 공연히 감시받는 느낌입니다” (서울 은평구의 H 어린이집 교사 A 씨)

“본인들이 당당하다면 CCTV가 있든 없든 하던 일을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보육교사 뽑을 때 인성을 더 확실하게 검사해야 합니다” (인천 부평구 5세 아이 엄마 B 씨 )

경찰이 전국 어린이집의 CCTV를 전수조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어린이집 교사들과 학부모들 사이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일부 교사들의 잘못된 행동으로 전체 교사들이 범죄자 집단으로 매도되고 있다는 어린이집 교사들의 불만과 아이들을 지키려는 부모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 대안없는 발언을 앞세워 양측의 갈등을 자극하고 있다. 


실제로 인천어린이집 아동 폭행사건이 발생한 이후 전국의 어린이집은 부모들의 우려섞인 민원전화를 받는 데 상당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CCTV 화면을 실시간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볼 수 있게 해달라” “어린이집 교사들의 이전 경력도 모두 부모들이 알 수 있도록 공개하라”는 등의 내용이다. 특히 어린이집 관계자들은 “사건 이후 CCTV를 스마트폰과 연결해 실시간으로 어린이집의 상태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문의는 지속적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하소연 하고 있다.

교사들이 CCTV설치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폭행사건 이후 부모들의 이같은 요구가 부담이 되는 건 사실. 서울 서대문구의 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는 “교사 한 명이 여러 명의 아이들을 돌보는 상황을 알아주지 않고, 영상만 보고 아이에게 더 관심을 보여달라거나, 교육 방침에까지 간섭하는 부모들까지 생겼다”며 “CCTV 설치에는 당당할 수 있지만, 부모들이 어린이집의 교육방침에 간섭을 하는 상황으로 변질되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실제로 어린이집 원장 경력 11년차인 임선희(45ㆍ여)씨가 지난해 9월 서울시 민간 어린이집 원장 16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정부 지원에 의해 CCTV가 설치된다면 설치하겠는가’란 질문에 ‘설치하지 않겠다’는 답변이 61.2%로 나왔다. 그 이유로는 ‘보육 교직원의 인권 때문’이란 응답이 66.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최근 잇단 아동학대에 분노한 부모들은 CCTV 설치가 시급하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인터넷의 각종 맘스카페에는 “교사의 인권보다는 아이들을 보호하는 게 더 중요한 것 아니냐, 부모들의 마음을 안다면 교사들이 그런 불만을 제기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다음 아고라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인권보다 영유아의 생명보호가 더 시급하다”며 “전국 어린이집 CCTV설치를 의무화해달라”는 내용의 서명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13일부터 시작된 이 서명운동에는 일주일도 되지 않아 목표로 한 2만 명을 돌파했다.

일부에서는 보육환경 자체의 개선 없이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이어진다. 교사들은 각종 커뮤니티를 통해 “온라인 자격증 때문에 교사가 넘쳐나면서 급여도 낮아졌고, 근로 환경도 열악해졌다” “출산장려라는 명목으로 자격증을 남발해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가중된 건 아닌지도 고려해야 한다”며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