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5년 커넥티드카…인포테인먼트의 대중화 원년
-車 인포테인먼트 2015년 대중화 원년
-현대차, 블루링크 시스템 탑재한 차량 올해 북미 시장에 출시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무인카가 몇년뒤 다가올 미래라면, 커넥티드카(통신망을 통하여 정보기술기기로 활용하는 차량 )의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기술은 눈앞의 현실이다.

현대자동차, 포드 등 국내외 완성차업체들은 스마트폰과 차량 멀티시스템(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등) 간 연동서비스인 인포테인먼트를 탑재한 차량을 올해 속속 출시한다.

올해 국제가전박람회(CES)에선 자동차업체들이 선보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화제였다. 콘셉트카를 제외하곤 CES에서 선보인 기술은 대부분 올해 상용화된다.

현대자동차의 ‘디스플레이 오디오’, 사진제공=현대차

대표적으로 현대차는 블루링크 시스템을 탑재한 2016년형 신차를 미국시장에 내놓는다.

현대차는 신차에 CD플레이어를 빼고, 대신 블루투스 기능을 강화한 ‘디스플레이 오디오’를 설치했다. 디스플레이 오디오에는 현대차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블루링크가 탑재됐다. 차량용 운영체제(OS)인 ‘카플레이(애플)’나 ‘안드로이드 오토(구글)’를 연결하면 내비게이션, 음악듣기, 전화연결, 메시지 보내기 등 각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내비게이션을 설치하거나 외장디스크를 연결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과 차량 디스플레이만 있으면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즐길 수 있다. 차랑 디스플레이가 내비게이션이 됐다가 채팅창이 됐다가 CD플레이어가 되는 식이다. 

현대자동차의 ‘디스플레이 오디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차는 “올해 북미시장엔 CD플레이어 빼고 블루투스 모델을 탑재에 차량을 출시한다. 당장 국내엔 적용되지 않지만, 장기적으론 블루투스 기능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신형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북미를 시작으로 다른 지역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미국의 포드도 인포테인먼트 영역에선 선구적인 위치에 있다. 포드는 CES에서 선보인 음성작동 기술 ‘싱크3’를 올해 출시되는 차량에 탑재한다. 싱크3는 운전자가 이름을 말하면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주고 음성으로 내비게이션의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운전자가 스마트폰이나 차량 디스플레이에 집중하지 않아도 돼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독일 자동차업체 폴크스바겐은 운전자가 손짓으로 차량 내 오디오, 비디오 등을 제어하는 ‘제스처 컨트롤’ 기능을 일부 차량에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제스처 컨트롤은 차량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운전자의 손 움직임을 인식해 기기를 작동하는 방식이다.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차량 인포테인먼트의 기술 발전으로 이제 제대로된 커넥티드카(차량과 IT기술 간 연동)가 출시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운전자의 손과 발이 보다 자유로워지는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